미언론, 한국 선거후 사태 우려|관련기사 집중 보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다시 한국문제가 미국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미언론은 「6·29」 전후에 버금가는 지면과 시간을 한국대통령선거에 할애하고 있다.
최근 극도의 혼란과 폭력 사태속에 「아이티」 대통령선거가 연기된 뒤끝이라 더욱 관심이 크다.
뉴욕타임즈지만 보더라도 13일 하루 선거 막바지 청중동원경쟁, 선거후 정치사태전망, 경제에 미치는 영향등 3건의 선거관련기사를 집중 보도했다.
여론정치의 나라 미국은 한국에서 선거운동 기간중 여론조사결과의 공표를 법으로 금지하고있는 점을 매우 이상스럽게 느낀다. 게다가 유세장마다 수백대의 버스로 청중을 동원하는 사태를 기이하게 보도하고 있다. 무리한 청중동원 때문에 빚어지는 금품 수수등 상서롭지 못한 수법등이 낱낱이 공개되고 있다.
그러나 더 큰 관심은 선거전후 돌발적 사태변화의 가능성 여부에 모아지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지는 주말 서울발 보도를 통해 『선거기간중의 폭력이 격화됨으로써 야당이 승리하면 군부 쿠데타가 일어나거나, 여당이 이기면 폭발적인 야당의 항의시위가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격증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주가 결정적 시련」 이란 제목으로 대통령선거를 다룬 뉴욕 타임즈지는 『이번 수요일과 그 후 발생상황에 따라 한국의 정치성장이 지속될 것이냐, 아니면 무질서와 탄압이 되풀이 될것인가가 결정될것』 이라고 내다봤다. 이 신문은 『누가 승리할 것이냐는 것만 문제가 아니라 과연 선거가 공정했다고 받아들여져 신정부가 뿌리를 내릴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고 말했다.
미 언론에 비친 한국정치의 장래는 단기적으로는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비관쪽이다. 『군은 야당이 승리할 경우를 불안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 졌다. 군이 행동하지 않을 상황이 된다면 학생등 정부반대세력이 행동할지도 모른다. 그런 경우 군의 인내 한계가 시험 될걸로 예상된다』고 동지는 분석했다.
뉴욕타임즈지는 이체까지 한국의 경제 정책 수립가들은 강력한 대통령의 보호막 속에서 마음먹은대로 정책을 수립, 실천할 수 있어서 이는 일종의 「경제 정책가들의 낙원」 이었다고 표현했다.
그리고 임금인상·농민보호·세금인하등 후보들의 공약실천등과 관련해 민주화로 인한 경제적 대가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신문은 후보별 경제 정책변화폭을 김대중씨가 될경우 최대로, 노태우씨가 최소, 김영삼씨가 중간일 것으로 기업인·경제전문가들이 보고있다고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