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가 트럼프에게 '북한 붕괴 가능성'언급했다는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대북 정책을 담당했던 토니 블링컨 전 미 국무부 부장관이 “재임시 체제 붕괴 가능성 등 북한 유고시에 대비한 협의를 중국에 요청했지만 중국은 북한을 자극할까봐 구체적 협의에 응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토니 블링컨 전 국무 부장관 아사히 인터뷰 #"中에 북한 붕괴 대비 협의 요청, 거절당해" #"숙청 대상이 김정은에 먼저 행동 나설 수도"

17일 보도된 일본 아사히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블링컨 전 부장관은 "한·미·일이 기본계획을 짜고 중국이 여기에 참가하도록 제안했었다", “한·미·일과 중국이 사전에 이 문제를 협의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구체적으로 블링컨 전 부장관은 ^핵 시설의 관리^군대의 파견방법^북한 붕괴후의 통치 방법 등에 대해 관계국들이 사전에 협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니 블링컨 전 미 국무부 부장관.[중앙포토]

토니 블링컨 전 미 국무부 부장관.[중앙포토]

그는 북한 체제 붕괴 가능성에 대해 “김정은이 권력기반을 확고해 해나가고 있어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면서도 “하지만 언제라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했다. 아사히는 블링컨 전 부장관의 말을 빌어 “지난해 11월 오바마 당시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만났을때도 (북한 체제 붕괴 가능성에 대한)이런 위기감을 전달했다고 한다"고 보도했다.

블링컨은 김정은이 권력장악을 위해 정권 간부들의 숙청을 급속히 진행시키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숙청대상이 된 간부들이 먼저 행동을 취하려 할 수도 있다"며 테러나 쿠데타의 가능성도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고 아사히는 보도했다.

이밖에 블링컨 전 부장관은 북한의 핵ㆍ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측의 협력을 끌어내기 위해 미국 정부가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에 대한 독자 제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한국에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체계를 완전 배치하고, 미국과 한·일간의 공동 군사훈련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블링컨은 오바마 대통령의 국가안보부보좌관을 지낸 뒤 2015년부터 올 1월까지 국무부 부장관으로 북한과 이란의 핵문제 등에 관여했다.  서승욱 기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