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대리 사과' 누가 하느냐로 밀고 당긴, 56시간 막후 스토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독일로 출국한 5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에서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왼쪽부터)가 청와대 임종석 비서실장, 전병헌 정무수석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독일로 출국한 5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에서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왼쪽부터)가 청와대 임종석 비서실장, 전병헌 정무수석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우원식 "전 수석님, 지금 임명하면 안 돼요."
전병헌 "대표님, 시간 끈다고 뭐 달라져요? 야당은 말이 다 다르고, VIP(대통령)의 뜻(장관 후보자 두 명 모두 임명)도 확고하고."
우원식 “그럼 몽땅 틀어진다고, 추경도 물 건너가고.”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을 마치고 돌아온 10일,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이 저녁을 같이했다. 공기는 탁했고 짜증 섞인 말들도 오갔다. 당·청 교섭창구인 둘이 인사ㆍ추경ㆍ정부조직법을 x축으로, 대통령과 야 3당을 y축으로 한 고차 방정식을 풀기란 막막했다. “국회가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했다”라며 문 대통령은 이튿날 송영무ㆍ조대엽 장관 후보자를 임명하겠다고 사실상 피력한 상태. 피가 더 마르는 건 우 원내대표였다. “울기만 하고 도대체 한 게 뭐냐”는 비아냥이 적지 않았다.

우원식 “둘 중 하나 포기하는 건…”
전병헌 “아니 왜 그래요. 한명 관두면, 야당 들어온대?”
우원식 “야당 들어오면, 그땐 가능해?”

둘은 두 시간을 옥신각신했다. 그리고 내린 잠정 결론, ①우선 대통령께 2, 3일 말미를 달라고 한다 ②야당이 국회에 들어오게끔 밑 작업을 한다 ③그리고 나서 대통령께 다시 건의한다.
11일 오전 10시, 청와대는 “우 원내대표의 간곡한 요청을 받아들여 장관 임명을 미루기로 한다”고 발표한다. 이후 13일 오후 6시 조 후보자가 사퇴하기까지 56시간 동안 청와대와 여야 간 ‘우병철’ (우원식-전병헌-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 정무라인의 ‘3각 밀당’이 치열했다.
◇'대리사과' 중진→전병헌→임종석으로=11일 오전 민주당 원내사령탑이 모였다. 출연진은 많고 요구는 얽힌 상태, 첫 실타래를 어떻게 푸느냐가 중요했다. 장관 중 누굴 임명할지, 추경은 어떻게 할지 등은 아예 거론하지 않고, 우선 내 편을 늘리기로 했다. 타깃은 국민의당. 그들은 전제조건이 있었다. 추미애 대표의 사과. 이로써 우 원내대표에겐 ‘선 사과-후 건의’의 전략이 수립됐다.
다음은 민주당 핵심당직자의 전언. “추 대표도 사과를 꺼려했지만 우리도 수용할 수 없었다. ‘머리 자르기’란 대목만 추려낸 정치공세라 대표가 머리를 숙이는 건 제보조작의 본질이 훼손될 수 있었다. 대신 감정을 달래줘야 했다. 그때 나온 게 ‘대리 사과’였다. 그건 추 대표측에도 양해를 구했다. ”

국민의당 박주선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14일 오전 열린 회의에서 김동철 원내대표와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당 박주선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14일 오전 열린 회의에서 김동철 원내대표와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제는 누가 하느냐였다. 중량감있는 중진ㆍ원로가 거론됐다. 때마침 11일 오후 민주당 중진회의가 열렸고, 사과할 용의가 있다는 인사도 있었다. 하지만 김동철 원내대표가 난색했다. “상징성보다 대표성이 더 중요하다”면서다. 다시 ‘우병철’이 머리를 맞댔다. 그때 전 수석이 “내가 사과를 하면 어때”라며 꾀를 냈다. 이튿날 전 수석이 박주선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을 찾았다. 이번엔 박 비대위원장이 거절했다. 오히려 “정무수석은 급이 안 맞지, 청와대 2인자면 모를까”라며 역제안을 했다. 전 수석은 “비서실장이 (사과)하면 사실상 대통령이 하는 거나 마찬가지인데, 그건 곤란하다”고 답했다. 말은 그렇게 했지만 전 수석은 곧바로 청와대로 복귀해 ‘비서실장 사과’건으로 내부 회의를 했다. 13일 오전에야 결론이 났고, 임종석 비서실장이 직접 국민의당을 찾아 유감을 표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비서실장 혼자 (사과를) 결정했겠어. 대통령이 고민끝에 허락한 거겠지. 그래서 우리도 국회 들어가기로 한 거야”라고 전했다.
◇18일까지 추경ㆍ정부조직법 처리키로=‘대리 사과’와 동시에 민주당측은 장관 임명에 대한 논의도 물밑에서 진행됐다. 야 3당은 대외적으론 “송영무ㆍ조대엽 모두 불가”였다. 하지만 속내는 결이 달랐다. “둘 중 하나만 낙마해도…”라는 입장도 있었다. 11일 열린 민주당 의총에서도 “야당을 설득하기 위해 둘 중 한명은 임명 철회해야 한다”(설훈 의원)는 주장도 제기됐다. 결국 수차례 논의끝에 자유한국당에서 12일 오후 “둘 중 하나라면 송영무 노(NO)다. 대통령의 유감 표명도 있어야 한다”는 최종 요구안이 나왔다. 우 원내대표는 “이 정도면 어느정도 콘센서스가 이뤄졌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우 원내대표는 13일 오후 청와대에 들어가 두 장관에 대한 여야의 분위기를 소상히 설명했다. 최종 결정은 문 대통령과 각 후보자의 몫이었다. 그리고 두 시간뒤 조 후보자의 자진 사퇴로 56시간의 ‘핑퐁 게임’은 막을 내렸다.
한편 우 원내대표와 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14일 7월 임시국회가 끝나는 오는 18일까지 추가경정예산안과 정부조직법을 처리하기로 했다.
최민우ㆍ김형구 기자 minw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