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공개활동 중단 뒤 꼭 '큰 일' 냈다...공개활동 분석해 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사라지면 ‘사고’를 예상해야 한다.
적어도 그가 장기간 모습을 감췄다가 다시 나타난 경우엔 그랬다.
중앙일보는 지난 5년간 북한 언론등에 나온 김정은의 공개활동 현황을 분석했다.
그가 일주일 이상 공개활동을 중단한 횟수는 모두 27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권 첫 해인 2012년 10회, 2013년 7회, 2014년 1회로 감소했다. 2015년에 일주일 이상 ‘잠적’이 없었다.
그러나 지난해 4회에 이어 올해는 상반기에만 5회로 다시 늘었다.
이기동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북한체제연구실장은 “김정은은 집권 초기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권좌를 물려받은 뒤 현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공개활동을 중단한 채 업무파악에 몰두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이제 업무에 대한 자신감이 붙으면서 공개활동을 늘이면서도 동시에 현안대응을 위해선 비공개활동을 주로 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2012년 집권 뒤 일주일 이상 공개활동 중단 25회 #10→7→1→0→4→5회, 집권 초기엔 사안 생길 때마다 長考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장성택ㆍ이영호 처형 전에 모습 감춰 #당대회나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 전에도 같은 패턴

장고(長考) 끝에는 ‘일’이 터졌다.  당장 한ㆍ미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로 분류한 북한의 ‘화성-14형’ 미사일 발사(4일) 전 김정은은 13일간 북한 언론에서 모습을 감췄다. 노동신문 등 북한 관영 언론들은 지난달 20일 김정은이 치과 위생용품 공장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한 뒤 지난 4일 오후가 돼서야 그기 미사일 발사 현장에 있었다고 전했다.

 지난 5월 14일 북한이 신형 미사일이라고 주장한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을 쏘기 전에도 같은 패턴을 보였다. 4월 27일부터 5월 4일까지 8일 동안 그의 흔적이 없었다. 지난해 2월 12일 장거리로켓(미사일) 광명성을 쏠 때나 9월 9일 5차 핵실험을 전후해서도 김정은은 각각 9일과 6일씩 모습을 감췄다.

 전현준 평화협력원장은 “북한이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뒤 김정은의 치적으로 선전하면서 그가 직접 챙겼다는 북한 보도 내용을 고려하면 그가 공개활동을 하지는 않았지만 미사일 제작 현장을 방문하는 등 다른 활동을 중단한 채 핵과 미사일 챙기기에 집중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장기간 공개활동 중단 현황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장기간 공개활동 중단 현황

잠적 뒤 사건이 발생했던 패턴은 북한 내부 상황과도 연관성을 보였다. 2013년 12월 13일 고모부인 장성택을 처형할 때가 대표적이다. 북한 언론들은 그가 백두산 인근의 삼지연을 방문했다고 같은 해 11월 30일 보도한 뒤 8일간 김정은의 동정을 다루지 않았다. 소위 삼지연 구상 뒤 장성택 처형을 결심하는 기간이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또 2012년 7월 말 이영호 총참모장을 처형하기 전에도 16일부터 23일까지 모습을 감췄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제1위원장 타이틀을 유지하다 최고지도자에 오른 지난해 5월 5일 7차 당대회를 앞두고도 그는 언론에서 사라졌다(4월25~5월5일).

익명을 원한 고위 탈북자는 “북한에선 미사일 실험이나 핵실험 등 외부의 반격이 예상되는 행동을 할 때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시나리오를 만들어 대응책을 고심하곤 한다”며 “김정일은 2003년 이라크 전쟁 발발직후 40여일간 공개활동을 중단한 채 대응책을 마련했던 적도 있다"고 말했다.

전현준 원장은 “김정은이 2013년 9월 다리를 다쳐 40일 동안 모습을 보이지 않은 적도 있다”며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가 장기간 안보일 경우 무슨 일을 꾸미는지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