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10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협의중”…산업계 ‘환영’ 분위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김진표 위원장이 “올해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거의 그렇게(지정하는 쪽으로) 가려고 한다”고도 했다. 6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김진표 위원장이 6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올해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말해 현실화 가능성이 커졌다. 사진은 지난 3일 오전 서울 통의동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서 김 위원장이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김진표 위원장이 6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올해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말해 현실화 가능성이 커졌다. 사진은 지난 3일 오전 서울 통의동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서 김 위원장이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자문위의 수장이 이런 입장을 밝힌 만큼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이 크다. 10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9월 30일 토요일부터 한글날(10월 9일)까지 최장 열흘의 황금 연휴가 가능해진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공약에서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겠다’고 했다.

10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토요일인 9월 30일부터 10월 9일 한글날까지 최장 열흘 간의 ‘황금 연휴’가 가능해진다. [그래픽:연합뉴스]

10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토요일인 9월 30일부터 10월 9일 한글날까지 최장 열흘 간의 ‘황금 연휴’가 가능해진다. [그래픽:연합뉴스]

임시공휴일은 법정공휴일과는 달라 민간 부분까지 강제할 수는 없다. 공무원은 적용을 받지만, 민간 기업은 각 사별 취업규칙에 따라 휴일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문에 인력 여력이 없는 중소기업 직장인이나 일일 노동자 등은 쉬지 못한다는 점에서 형평성 논란이 있어왔다. 이와 관련해 김 위원장은 “현재 관공서나 공공기관만 의무화되는 것이지만 그렇게 되면 민간들도 많이 따라올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경우 내수 경기 진작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5월 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서 혼잡통행료가 면제된 서울 남산 1호 터널. [연합뉴스]

정부는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경우 내수 경기 진작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5월 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서 혼잡통행료가 면제된 서울 남산 1호 터널. [연합뉴스]

산업계는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 대한상공회의소 이경상 경제조사본부장은 “한국은 근로시간이 가장 많은 나라에 속하는 만큼 정부가 큰 방향에서 정책적으로 권장할 만 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대적 박탈감’ 문제는 풀어야 할 숙제다.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한 업체 사장은 “생산라인에서는 납품기일이 정해져 있어서 공휴일로 지정돼도 기계를 멈출 수가 없다”며 난색을 표했다. 같은 생산직이라고 해도 포스코 등 대기업에 근무하는 경우 공휴일 근무는 추가 수당을 받지만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의 경우 대부분 적절한 경제적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최장 열흘 ‘황금 연휴’ 가능해져 #중소기업 직장인 등은 못 쉬어 형평성 논란도 #산업계 “형평성 문제는 풀어야 할 숙제”

재계 관계자는 “대기업들이 앞장서 쉬면 하청업체 등 산업이 연동된 사업장들도 같이 쉴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질 수 있다”며 “휴일 규정의 보호를 못 받는 근로자 입장에서는 자율적인 연차 활용보다 정부가 나서서 임시공휴일로 지정해 버리는 게 더 바람직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3개월 정도 미리 연휴를 예고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의 묘’를 발휘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중소기업중앙회 추문갑 홍보실장은 “중소기업의 43.7%가 대기업에 납품하는 협력업체인데 과거 황금 연휴는 워낙 급히 정해지다 보니 많은 중소기업들이 물량 납기를 맞추느라 쉬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중기중앙회가 지난 5월 황금 연휴 때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중소기업들은 ‘납품기일 준수’(33.3%)와 ‘일시가동 중단으로 인한 생산량ㆍ매출액의 큰 타격’(29.2%)으로 휴무가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추 실장은 “이번에는 수개월 전 미리 예고된 만큼 대기업들이 납기를 조정하는 등 조금만 협력업체를 배려해 준다면 중소기업 근로자들도 함께 즐거운 명절을 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구ㆍ이소아 기 kim.hyoungg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