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 삼청교육대' 선감학원 피해자 지원 사업 본격 추진

중앙일보

입력

일제강점기 말부터 1982년까지 아동·청소년의 인권유린이 자행된 선감학원 피해자에 대한 경기도의 지원사업이 가시화된다.

10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 선감학원사건 피해자 지원 및 위령사업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이날 도청에서 회의를 열고 5월부터 피해자 지원을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하기로 했다. 

선감학원은 일제강점기인 1942년에 경기도 안산시 선감동에 설치된 청소년 시설이다. 당시 부랑아 교화를 명분으로 8~18살 어린이와 청소년을 강제로 입소시켜 노역과 폭행, 학대와 고문 등을 자행했다. 그래서 '소년 삼청교육대'로도 불린다. 

해방 뒤 경기도로 관할권이 이관됐지만 1982년 시설이 폐쇄될 때까지 지속적인 인권 유린이 자행됐다. 

오는 11월까지 진행되는 연구용역에선 유해 매장지·추정지 기본 현황 조사와 유해 발굴 방법, 감식·발굴 뒤 추모공원을 조성하는 방안 등 희생자 지원방안을 검토한다.

5월 27일 개최되는 선감학원 피해자 위령제 세부계획도 논의됐다. 위령제는 선감 원생의 혼령을 바다에서 건져오는 의식인 '혼맞이 길놀이', '추모 음악회' 등으로 진행된다.

경기도, 5월부터 선감학원 사건 피해지원 등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 #선감학원은 일제강점기부터 아동·청소년을 강제로 데려와 학대한 곳 #연구용역 통해 피해자 유해 발굴·감식 및 추모공원 조성도 검토

위원회는 이날 나정숙·신성철 안산시의원을 새로운 위원으로 위촉했다.

위원장인 정대운 경기도의원은 "연구용역을 차질없이 추진해 유해발굴과 추모사업을 진행하는데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해 5월 '경기도 선감학원 사건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조례' 개정에 따라 위원회를 설치했다.  

위원회는 선감학원희생자협의회, 선감동 지역주민대표, 안산지역사연구회, 변호사, 경기도와 안산시 공무원 등 17명으로 구성됐다.

수원=최모란 기자 m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