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발생 높은 지역은 어디?…인천 남동구.계양구, 부산 남구 등 5곳

중앙일보

입력

전국 산불다발 위험지도. 붉은 색을 띤 지역에서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

전국 산불다발 위험지도. 붉은 색을 띤 지역에서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

전국에서 산불 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위 5개 지역은 인천 남동구와 계양구, 부산 남구, 서울 노원구, 울산 동구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봄철 산불 조심기간(1월 25일~5월 15일)을 맞아 첨단 정보통신기술(ICT)를 바탕으로 ‘전국 산불다발 위험지도’를 제작, 15일 발표했다. 산불다발 위험지도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해 1991년부터 2015년까지 발생한 1만560건의 산불 위치정보를 지도로 만든 것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 지도를 활용하면 산불감시원과 진화인력, 산림 헬기 등을 적재적소에 배치해 효율적인 산불예방과 신속한 산불진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도에 따르면 남한 국토의 10%가량이 산불 다발 위험지역인 것으로 조사됐다. 산불 다발 위험지역은 4단계로 나뉜다. 1㎢ 내 산불 발생 건수가 0.25건 미만이면 ‘징후 없음’, 0.25건 이상 0.50건 미만은 ‘주의’, 0.50건 이상 0.75건 미만은 ‘경계’, 0.75건 이상은 ‘심각’으로 구분한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남한의 7.73%가 ‘주의’ 단계에 해당했으며 ‘경계’ 1.19%, ‘심각’ 1.12% 등이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윤호중 산림방재연구과장은 “기상·지형 등의 영향으로 산불이 발생하는데 산불 피해지역은 재발 확률이 높다”며 “산불 다발지역 정보를 미리 파악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 연구자료는 국립산림과학원 홈페이지(www.nifos.go.kr) 내 산림과학도서관에서 ‘산불 다발’을 검색하면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대전=신진호 기자 shin.ji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