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중고에 시달리는 청주시 교통정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세종행 택시 요금 인하와 택시 감차(減車), 버스준공영제 등 충북 청주시가 추진하는 주요 교통정책이 난항을 겪고 있다. 택시 요금 인하와 감차 사업은 손실분을 뒷받침할 마땅한 방안이 없고 버스준공영제 역시 “적자 보전금 규모가 턱 없이 적다”며 업계가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송역~세종청사 택시비 인하 난항
택시감차, 업계와 합의 불발 제자리
버스준공영제, 지원금 이견에 연기

6일 청주시에 따르면 오송역~세종청사간 택시요금 인하를 위한 충북도·청주시·세종시간 협의회가 무기한 연기됐다. 협의회는 지난달 1일 모임을 마지막으로 언제 열릴지 기약이 없다. 세종시가 불참하고 있기 때문이다. 협의회는 양 지역 택시 복합할증 폐지와 귀로(歸路) 영업 허용을 주요 안건으로 다뤄왔다. 오송역에서 세종청사까지 거리는 약 18㎞(청주 구간 5.6㎞, 세종 구간 12.3㎞)다. 시내요금을 적용하면 1만5000원 정도에 갈 수 있지만 지금은 농촌할증과 사업구역외 할증이 붙어 2만원 안팎이다. 청주시는 이 할증요금 폐지를 추진하고 있다. 유서기 청주시 택시운수팀장은 “정부세종청사를 운행하는 택시의 카드 수수료 등을 간접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세종시는 할증요금 폐지에 소극적이다. 택시업계가 반발하는 데다 할증요금 폐지가 KTX세종역 신설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종시는 오송역에서 21㎞거리의 호남고속철도에 세종역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청주시 관계자는 “세종시가 세종역을 이용하면 할증료가 붙은 비싼 택시요금을 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청주시 택시 감차 사업도 제자리다. 시와 택시 업계는 과잉 공급된 택시 463대(개인 284대·법인 179대)를 줄이기로 했지만 감차 보상금과 택시 업계를 지원할 출연금 마련 등에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청주에서 거래되는 법인택시 가격은 한 대당 4000~5000만원이다. 개인택시는 1억원 정도다. 반면 감차시 정부는 한 대당 1300만원을 지원한다. 또 올해 도입하려던 시내버스 준공영제도 지원금 규모에 이견이 있어 추진 시기를 늦추게 됐다.

최종권 기자 choig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