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실험] 국정원 "北 핵탄두 소형화 예상보다 빨라 우려, 수소폭탄 실험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가정보원은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해 “북한 핵탄두 소형화가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것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국정원은 이번 핵실험이 “수소폭탄 실험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이병호 국정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 정보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북한의 제5차 핵실험 관련 긴급 현안보고를 했다. 이 원장은 북한의 5차 핵실험 의도에 대해 "대외적적으로는 국제사회에서 북핵불용 압박이 강한데 대한 반발과 핵능력 과시, 대내적으로는 9ㆍ9절 정권수립일을 맞아 김정은의 강한 지도자상을 부각시키려는 의도와 엘리트 탈북 등으로 인한 내부 동요 차단이며 대남적으로는 남한테 안보불안을 조성해 남북 대화를 압박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고 새누리당 정보위 간사인 이완영 의원이 전했다.

더불어민주당 정보위 간사인 김병기 의원은 “북한이 지금 목표로 하는 것은 스커드 미사일 장착 정도의 소형화로 개발하는 것인데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핵탄두 소형화가) 진행되는데 대해 국정원도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북한 핵무기의 전력화(戰力化) 시기에 대해서는 “(핵탄두를 미사일에) 탑재한다는 것과 무기화 한다는 것은 전혀 별개의 일”이라며 “(전력화가) 1~2년 내 된다고는 보여지지 않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정보당국에서 생각하는 것보다는 빠른 시일 안에 무기화 할 수 있다는 얘기는 나왔다”고 했다

김 의원은 “핵실험에 사용된 건 수소폭탄은 아닌 것으로 (분석이) 나왔다”며 “비용은 발표하지 않기로 했지만 과거보다 증가폭이 아주 커보이진 않는다”고 국정원 보고 내용을 전했다.

김 의원은 북한의 추가 핵도발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언제든지 할 수 있다고 본다”며 “6차, 7차 (핵실험이) 언제 일어나도 놀랍지 않다”고 말했다.

북한 핵실험에 대한 국정원의 인지 여부에 대해 이철우 정보위원장은 “9월 9일 오전 9시(평양시간)라는 건 몰랐지만 징후는 충분히 포착해 대비하고 있었다고 국정원이 답했다”고 말했다.

이지상ㆍ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