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단체·亞문화전당 충돌…유네스코 아태위 개소식 파행

중앙일보

입력

5·18기념재단과 5월 단체들이 옛 전남도청 별관에 대한 활용 방안을 놓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측과 충돌했다.

5·18기념재단과 5월 3단체(구속자회·부상자회·유족회) 회원 50여 명은 7일 오전 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 내 옛 전남도청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태지역위원회(MOWCAP) 센터 개소식에서 항의 농성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5월 단체 인사들과 아시아문화전당 직원들 사이에 30분가량 고성이 오가며 몸싸움이 벌어졌다. 5월 단체 회원들은 "아무런 상의도 없이 5·18의 현장인 옛 전남도청을 마음대로 활용하려 한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5월 단체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아시아문화전당이 도청 별관을 전시관으로 활용하려 하고 있다"며 "기념관과 전시관 중 어떤 곳으로 활용할지 입장이 정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또 "이날로 예정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태위원회 개소식과 세미나를 추진한다는 초청장을 행사 하루 전인 지난 6일에야 받았다"며 "이는 도청 별관을 마음대로 사용하려는 불순한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양측은 옛 전남도청을 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으로 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도 '5·18 총탄 자국과 상황실 등에 대한 훼손 논란'으로 인해 갈등을 빚어왔다. 5월 단체들은 "리모델링 과정에서 옛 전남도청 벽에 남아있던 총탄 자국이 페인트에 덮여 지워졌으며 시민군 상황실과 방송실도 철거됐다"며 원형을 복원해줄 것을 촉구해왔다.

김양래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전날부터 아시아문화전당장과의 면담을 요청했지만 아무런 답변이 없다"며 "옛 전남도청은 5·18의 역사가 담긴 현장인 만큼 전시관이 아닌 기념관으로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아시아문화전당 측은 "유네스코 국제기구 유치를 위한 시설공사를 하겠다는 것은 이미 5·18 단체에 알린 사실"이라며 "5·18 단체 측에 '센터가 입주할 장소에 대해 반대한다면 협의를 통해 옮기겠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5·18 단체가 이날 행사를 방해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어겼다"고 밝혔다.

광주광역시=최경호 기자 ckha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