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17개월 앞두고 개·폐막식 연출가 사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기사 이미지

송승환(左), 정구호(右)

1년5개월여 남은 평창 겨울올림픽이 암초를 만났다. 개·폐막식 연출가인 정구호(51)씨가 30일 사의를 표명했기 때문이다. 개·폐막식의 밑그림과 콘텐트 등 예술적 부분을 정씨가 책임져 온 터라 평창 올림픽은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게 됐다. 사퇴 이유로 정씨는 송승환(59) 개·폐막식 총감독과의 불화를 공개적으로 거론했다. 30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사사건건 부딪쳤다. 송 총감독과 도저히 함께할 수 없었다”며 내부 갈등이 심각했음을 토로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왜 사의를 표했나.
“그만두는 게 아니다. 조직위원회와 송 총감독이 계약을 안 해주기 때문이다. 2월부터 평창 일을 해왔는데 6개월간 돈 한 푼 받지 못했다. 구체적인 조건은 구두상으로 합의했는데, 계약을 차일피일 미루는 건 나가라는 얘기 아닌가.”
‘평창에 상주해야 한다’는 계약 내용 때문에 틀어졌다고 알려졌다.
“난 내년까지 예정된 일이 있다. 그거 다 알면서 연출일 맡아달라고 했다. 이제 와서 딴소리하면 어떡하나. 강원도 평창에 24시간 자리를 꿰차고 앉아 있어야 일이 된다고 생각하는 게 난센스다.”
기획안이 청와대 보고까지 되지 않았나.
“그래서 더 배신감이 드는 거다. 실컷 내 아이디어 써 먹고 팽(烹)시키는 거 아닌가. 그간 송 총감독이 낸 구상안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는 번번이 반대했다. 대신 내 아이디어는 전적으로 동의했다. 현재 개·폐막식 기본 시나리오의 80%는 내가 낸 것이다.”
김종덕 문체부 장관 교체도 영향을 미쳤나.
“그건 내가 관여할 일이 아니지 않나. 여하튼 송 총감독과는 도저히 맞출 수 없었다. 그분의 기본 방향은 ‘초등학교 2학년도 이해할 수 있는 개·폐막식’이다. 아무리 쉽게 만든다고 해도 예술적 깊이감은 가져가야 하는 거 아닌가. ”

이 같은 정씨의 주장에 대해 송 총감독의 입장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결이 되지 않았다. 대신 송 총감독은 “일일이 대응하는 게 적절하지 않은 거 같다. 조직위에서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할 것”이란 문자를 보내왔다.

◆정구호=패션 디자이너이자 영화의상 전문가로 유명하다. 2013년부터 국립무용단의 ‘단(壇)’ 연출을 맡으면서 공연계와 인연을 맺었다. 특히 그의 연출작인 ‘향연’을 인상 깊게 본 김종덕 문체부 장관의 추천으로 올 2월부터 평창 개·폐막식 연출가로 활동해왔다.

최민우 기자 minw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