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분수대

민간 외교의 꽃, ‘스포츠 한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남정호
남정호 기자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기사 이미지

남정호
논설위원

이번 리우 올림픽에서도 감동의 순간은 계속됐다. 여자육상 5000m에서 뒤엉켜 넘어진 뉴질랜드와 미국 선수가 서로 격려하며 완주하는 모습, 체조 선수인 17세의 한국 이은주가 열 살 많은 북한 홍은정과 웃으며 셀카를 찍는 광경 등이 그랬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뇌리에 남는 건 배드민턴 여자복식에서 일본 다카·마쓰조(組)가 우승하자마자 한국 출신 박주봉 감독과 부둥켜안고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었다.

‘배드민턴계의 전설’인 박 감독은 한국식 스파르타 훈련으로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선수 13명 중 12명이 첫 경기에서 질 정도로 약체였던 일본 배드민턴을 환골탈태시켰다. 박 감독의 일본 제자들은 준결승전에서 한국을 꺾었지만 아무도 그를 욕하지 않았다. “그게 국위 선양”이라는 칭찬 일색이다. 박 감독을 보는 일본 측 시선도 살갑다. 위안부 갈등에 따른 앙금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모처럼 한·일 간 반감을 누그러뜨린 호재였다. 이런 게 바로 민간 외교의 힘이다.

이번 올림픽에서는 18명의 한국 감독이 16개국에서 활약했다. 이 중에는 외국 제자들을 독하게 굴려 성공한 이도 많다. 우선 베트남에 첫 금메달을 안겨준 박충건 사격팀 감독이 있다. 그는 공기권총에서 우승한 호앙쑤언빈을 인천 사격장까지 데려와 조련했다. 중국에 남자 유도 동메달을 선사한 정훈 감독은 독했다. 혹독한 훈련에 선수 30명이 야반도주해 정 감독이 잡으러 다녔다. 태권도와 양궁에서 태국과 미국에 은메달을 안긴 최영석·이기식 감독도 그 나라에선 영웅이다.

일본과는 위안부, 중국과는 사드 문제로 껄끄럽다. 베트남과 한국은 베트남전 때 총부리를 겨눴던 사이다. 이런 터라 이들 나라에서의 우리 감독들의 성취는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크게 개선시켰을 것이다.

스포츠에는 미움을 녹이는 힘이 있다. 1995년 인종차별이 극심했던 남아공. 단 1명을 빼고는 전원 백인만으로 구성된 이 나라 럭비팀은 흑인들의 전폭적인 응원 속에 월드컵 우승을 이뤄낸다. 흑백 갈등 해소에 큰 몫을 한 건 물론이다. 79년 성사된 미·중 국교 정상화도 양국 탁구선수 간 우정에서 비롯됐다.

차제에 ‘스포츠 지도자 한류’가 더 번성하도록 온 사회가 도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우리도 국적을 떠나 모든 해외 지도자들에게 마음을 여는 건 어떨까. 일본·중국 감독이 한국의 유도·다이빙 대표팀을 담금질해 이들이 금메달을 따지 말란 법도 없다.

남정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