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소득 제자리…담배소비만 늘며 소비성향은 최저치 경신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경기 부진이 이어지며 가계의 벌이도 늘지 않고 있다. 소비심리가 위축되며 소비성향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0만6000원이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0.8% 늘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소득은 전년 동기대비 같았다. 실질소득은 지난해 2분기 2.3% 늘어난 이후 정체 상태다. 지난해 3분기 증가율이 ‘0’이었고 지난해 4분기와 올 1분기는 각각 0.2% 줄며 뒷걸음질쳤다.

벌이가 신통치 않은 가계는 지갑도 닫았다. 2분기 월평균 지출은 328만1000원으로 전년 동기와 동일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0.8% 줄었다. 가계의 지출 중 소비지출은 294만8000원으로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과 같았다. 소비지출은 정부의 부양책에 힘입어 지난해 4분기 1.7% 늘었지만 올 1분기에는 증가폭이 0.6%로 축소됐다. 2분기에는 아예 증가율이 ‘0’에 머물렀다. 소비지출 증가율은 2분기 0.7%에서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소비는 0.9% 감소했다. 그러면서 처분가능소득대비 소비지출 규모를 보여주는 소비성향은 70.9%로 떨어졌다. 지난해 3분기(71.5%) 나타냈던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그나마 가격이 오른 담배 소비가 10.9% 늘었고, 임시공휴일(5월6일) 지정 효과로 오락ㆍ문화 지출은 2.1% 증가했다.

기사 이미지

소득분배도 악화됐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소득은 전년 대비 6.0% 줄었다. 반면 상위 20% 고소득층인 5분위는 1.7% 증가했다. 그러면서 5분위 계층의 평균소득을 1분위 계층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소득5분위배율은 4.51배를 기록하며 지난해 2분기(4.19)보다 커졌다. 본격화된 취약업종에 대한 구조조정 충격이 저소득층에 더 큰 영향을 끼친 걸로 풀이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임시 일용직 및 고령층 취업자 둔화 등으로 1분위 소득이 줄었다”며 “기초연금, 맞춤형 급여 등 취약계층 지원대책 확대 등을 통해 소득분배 개선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