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재단 설립 무효화하라"vs 새누리 "상처 치유 말라는 것"

중앙일보

입력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시민단체가 정부에게 피해자 지원 재단 설립 철회를 요구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이날 낮 12시 서울 종로구 중학동 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 소속 학생 등 20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4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연대집회 겸 1243차 정기 수요시위를 열었다.

광복절을 앞두고 열린 이날 행사에서 정대협은 "지난해 12월 28일 한일 합의 이후 8개월 동안 합의의 부당함을 들어 재고를 촉구해 왔다"며 "그런데도 정부는 합의를 밀어붙이고 기어코 화해·치유 재단 설립을 강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발언에 나선 피해자 김복동(90) 할머니는 "정부가 우리를 얼마나 무시하면 국민들까지 나서서 반대하는데도 재단을 설립하냐"며 "일본 정부가 피해자들의 명예를 회복시키고 법적으로 사죄·배상하기 전까지 지원금도 필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 여성위원회와 여성가족위원회 의원들도 이날 "지난해 12월 28일 한·일 외교장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는 원천무효"라며 양국간 위안부 합의의 재협상을 촉구했다.

화해·치유재단은 지난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양국의 합의에 따른 조치로 지난달 28일 공식 출범했다. 합의 당시 양측은 일본 정부가 10억 엔을 출연해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의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사업'에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10일 한·일 양국간 위안부 합의를 재협상하라는 야당의 주장에 "피해자들에 대한 상처치유와 명예회복을 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정재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이제는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의 회복,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길에 함께 힘을 모을 때"라며 "대다수 피해자 할머니들과 가족들은 재단을 통한 조속한 지원을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일본 정부를 향해 "조속한 시일 내에 합의문에 명시된 10억엔을 출연하라"며 "합의의 성실한 이행만이 과거 역사를 극복하고 미래지향적 한일관계의 초석을 놓는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이행을 촉구했다.

박혜민 기자 park.hye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