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조직개편 강행…총학생회 등 반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인하대가 일부 학부를 통폐합하고 입학정원을 조정하는 내용의 개편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놓고 총학생회와 교수회 등이 반발하고 나섰다.

인하대는 26일 최근 2017학년 학과별 입학정원(안)을 대학교육협의회에 등록했다고 밝혔다. 기존 10개 단과대학을 7개로 축소하고 미래융합대학을 신설하는 내용이다. 인문사회계열의 입학정원은 139명이 줄어들고 공과대학 등은 54명 늘어난다.

인하대 측은 "최근 10년간 단과대학별 정원 변동 현황과 취업률 등을 분석, 학장협의회에서 정한 평가지표에 따라 개편안을 마련했다"며 "학교 구성원들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인하대는 교무위원회와 대학평의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 최종 입학정원을 이달 말까지 대교협에 등록한 뒤 2017학년부터 적용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인하대 교수들과 학생들은 "구성원들과 논의를 거치지 않은 일방적인 결정"이라며 반발했다. 문과대 9개 학과의 학과장직을 수행하던 교수들은 전원 보직 사퇴서를 제출했다. 총학생회도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인하대는 총장의 독단과 아집으로 운영되는 개인 자산이 아니다. 총장실 앞에서 1인 시위에 돌입하겠다"고 했다.

인하대가 핵심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송도 제2캠퍼스 조성 사업도 위기다. 인하대는 당초 2020년 8월까지 송도국제도시 11공구 22만5000㎡의 부지에 IT·BT·NT 등 전략산업 중심의 특성화캠퍼스를 조성할 계획이었다. 다음달 말까지 인천경제청과 협의를 마치고 오는 7월 토지매매계약서를 체결하기로 했다.

하지만 인하대가 재정난을 이유로 인천경제청에 캠퍼스 부지 대금 1077억원 중 미납한 674억원을 10년간 분할 납부해달라고 요청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인천시 공유재산 관리 조례에 따르면 부지 대금 분할 납부 기간은 5년을 넘지 못한다.

인하대는 또 부지 대금 분할 납부 이자율(연 6%)을 2%대로 낮춰 달라고 요구했다. 상업용지를 조성원가로 인하대에 매각해 아파트와 상가 등을 지어 캠퍼스 건립비용을 충당할 수 있게 해달라는 제안도 했다.

그러나 인천경제청은 "현행법에 맞지않고 다른 대학과의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인하대의 요구를 모두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하대 관계자는 "송도캠퍼스 조성을 위해 재단 등 여러 기관들과 대화를 하고 있다"며 "협의 기간이 아직 남아있는 만큼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인천=최모란 기자 m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