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출판기념회의 3당 대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맨 왼쪽)가 10일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린 `김종필 증언록` 출판 기념회에 참석해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가운데)와 뭔가 얘기를 나누고 있다. 맨 오른쪽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김종필 증언록』출판기념회에는 3당 대표가 모두 참석했다.

‘살생부 파문’, ‘윤상현 의원 막말 파문’ 등 연이은 악재 국면에서 말을 아껴 온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요즘 제 마음이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지만 봄과 같지 않다는 뜻)”이라며 “꽃샘추위를 심하게 느끼고 있기 때문에 어딜 가나 마음이 편치않은데 모처럼 오고싶은 자리에 참석하게 돼 마음이 아주 푸근해졌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이 국민공천제 최초 시행을 통해 새로운 길을 가려고 하는데 여러가지 방해와 저항으로 인해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며 “그런 면에서 되돌아보면 JP는 온갖 난관과 반대를 무릅쓰고 정말 역사에 크나큰 업적을 남겼다”고 평했다. 친박계로부터 공격받고 있는 ‘상향식 공천제’에 대한 의지를 다시 강조한 것이라고 측근들은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JP는 시대상황을 적절하게 잘 읽고 처신했던 정치인”이라며 “우리가 1960년대 빈곤에서 허덕일 적에 나라의 근대화를 앞세워 오늘날 우리 경제의 기반을 이룩하는데 가장 큰 공헌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아무리 민주화를 얘기해도 한 정당이 계속해서 집권하는 사회는 일반적으로 민주화 사회라고 인정을 못 받는다. 1997년 김 전 총리에 의해 DJP(김대중-김종필)연합이 이뤄져 처음으로 수평적인 정권교체가 이뤄진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는 “중앙일보에 연재된 JP 증언록을 한 회도 빼놓지 않고 다 읽었다”고 해 청중들의 박수를 받은 뒤 야권통합을 거부하고 ‘제3의길’을 가고 있는 자신의 처지를 언급했다.

그는 “96년 15대 총선에서 자민련 돌풍을 일으키면서 양당구조에 도전하신 것을 정말 높이 평가하고 싶다”며 “현행 소선거구제 하에서 양당구조를 헤집고 다양한 국민들의 요구를 담아내기 위한 정치세력을 만든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와 안 대표는 행사 중 귀엣말을 주고받기도 했다. 행사가 끝난 뒤 기자들이 무슨 얘기를 했느냐고 묻자 김 대표는 “안 대표에게 언제 한번 만나자고 했다”며 '야권통합과 관련한 제안이냐'는 물음엔 “관계없다”고 말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