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국군, 미군의 미사일 감시위성 정보 실시간으로 활용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북한의 4차 핵실험을 계기로 미국이 운영중인 군사위성 자료를 한국군이 실시간으로 활용하게 됐다.

22일 군 당국에 따르면 한·미 양국 군은 각자 운영중인 연동통제소를 데이터 공유시스템인 '링크-16'으로 연결하기로 했다. 연동통제소는 한국과 미군이 각각 사용중인 군사관련 데이터 공유 정보를 외부에 연결하는 전화국과 같은 기능을 한다.

군 관계자는 "한국군 연동통제소(KICC)와 미군 연동통제소(JICC)를 데이터 공유체계인 '링크-16' 시스템으로 연결해 군사정보를 공유키로 했다"며 "여기엔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을 감시하는 미군의 군사위성 정보가 포함된다"고 말했다. 양국은 올해안에 KICC와 JICC의 정보교환 회선을 연결할 계획이다.

미군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사일방어(MD) 체계 핵심전력인 '우주기반적외선탐지시스템 위성(SBIRS)'과 조기경보위성(DSP)을 운용중이다. SBIRS는 미사일 발사때 발생하는 열을 적외선 스캐닝으로 감지해 추적하는 시스템이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뿐만 아니라 중단거리 탄도미사일도 탐지할 수 있다.

양국군의 연동통제소간 네트워크가 연결되면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발사되는 순간부터 한미가 공동으로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미군이 위성으로 부집한 정보가 연동통제소를 거쳐 한국군 탄도탄작전통제소로 전송되고, 그린파인 레이더나 SPY-1D레이더 등에서 수집한 한국군의 정보도 연동통제소를 거쳐 주한미군 탄도탄작전통제소에서 활용하는 식이다.

정부 당국자는 "현재 한미 연동통제소 간에는 한반도 해상의 함정과 공중의 항공기와 관련한 정보만 공유하고 있다"며 "탄도미사일 데이터가 입력되어 공유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SBIRS와 DSP 등은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계의 핵심 자산이어서 한국이 미국의 MD체계에 편입하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이번 정정보 공유는 북한의 미사일 움직임을 관측하기 위한 한국군의 부족분을 보강하는 것일뿐 MD와는 상관이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