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대표 "야권 연대는 책임"…"후보 단일화론 안 돼. 공동 공약 필요"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20일 국회에서 연두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경빈 기자

4·13 총선을 앞두고 야권 연대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는 20일 "야권연대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고 책임"이라며 “야당들에게 민생과 정권교체를 위한 정치연합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심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가진 신년 기자회견에서 “야권 지지자들은 한 목소리로 박근혜정권을 힘 있게 견제하고, 정권을 바꾸라고 야당에 촉구하고 있다”라며 “정의당은 이런 국민의 요구에 야당으로서 책임 있게 응답하고자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도 19일 신년기자회견에서 “천정배 의원의 국민회의, 정의당과의 비공식 (통합) 협의를 공개적이고 공식적 논의로 전환하자”고 했다.

심 대표는 “총선 후보단일화에 맞춰진 야권연대는 국민의 신뢰를 받지 못하고 승리공식도 되지 못할 것”이라며 “여러 정당 간의 공동공약으로 민생살리기의 희망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심 대표는 “야권이 국민의 삶을 지키는 일에 협력하고 그 능력을 보여줄 때 총선승리도, 정권교체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단순한 후보단일화 뿐 아니라 경제 분야 등에서 공동공약을 내자는 제안이다.

심 대표는 이어 “민생살리기 야권공조로 얻은 신뢰를 바탕으로 정권교체 연합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라며 “야권이 유능하고 책임 있는 연합정부의 비전을 제시하고 인정받을 때만이 국민들은 정권교체를 허락할 것”이라고 했다. 4월 총선은 물론 내년 12월 실시될 대선까지 야권연대를 이어가자는 주장이다.

심 대표는 “이러한 논의를 위해서 ‘범야권 전략협의체’(가칭) 구성을 추진하겠다”라며 “오늘 이후로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국민회의 등 야권 제정당과 지도자들을 만날 것이다”고 밝혔다. 범야권 전략협의체를 구성해 총선 공동공약, 혁신 공천방안, 정권교체연합 등을 논의하자는 게 심 대표의 주장이다.

심 대표는 더민주 문 대표의 제안에 대해서는 “정의당은 총선 후보조정을 넘어 국민을 위한 야권연대가 될 수 있도록 포괄적이고 조직적인 논의가 이어지길 기대한다”며 환영의 뜻을 내비쳤다.

심 대표에 따르면 문 대표는 그동안 정의당과의 통합을 제안해 왔다. 심 대표는 “저희는 ‘통합은 고려하지 않고 국민을 위한 연대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겠다. 그런 구상을 곧 준비해 제안 드리겠다’는 말씀을 드렸다”며 “따라서 오늘 제안을 진지하게 검토할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안철수 의원이 추진 중인 국민의당에도 “다원화된 정당 간 협력과 경쟁의 새로운 질서를 만들지 않고서 양당체제를 넘어설 수 없다”며 “창당에 바쁘겠지만 정권교체에 대한 국민적 열망 부응해 정치연합 구상에 동참해주시길 기대한다”고 야권연대를 호소했다.

안 의원은 지난 13일 월간중앙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총선에서 야권 연대는 결단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안 의원은 이날 오전 국민의당 기획조정회의 때 “이번 총선은 양당체제를 깨고 강력한 제3당을 만드는 선거”라고 하며 야권연대에 부정적 반응을 이어갔다.

천정배 의원은 이날 “야권이 지금 혁신은 실종되고 분열만 깊어져서 총선을 앞두고 궤멸할 위험에 있다”라며 “그런 문제(야권 분열)를 해결할 지를 고민하는 가운데 정의당과의 연대 문제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천 의원은 “가치와 비전 중심, 패권에 반대하는 반패권, 총선과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하는 승리와 희망의 연대를 추구해야 한다”라며 “그런 목표를 공유해 나갈 수 있는 통합과 연대가 돼야 한다”고 했다. 심 대표의 제안에 대해서는 "입장을 정리한 후 답하겠다"고 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