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공천특위, "책임당원이 유권자의 1% 이상이면 당원 참여 높여야" 절충안 마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는 6일 사실상 활동을 마무리하고 논의 결과를 7일 당 최고위원회의에 보고하기로 했다.

친박계와 비박계 의원들이 가장 첨예하게 대립했던 사안인 경선시 당원 대 국민 참여 비율은 50 대 50안과 30 대 70안, 그리고 지역에 따라 이 두가지 안을 선택하도록 기준을 정한 절충안도 최고위에 올리기로 했다. 한 특위 위원은 “책임당원이 지역 유권자 수의 1% 이상이거나 1000명 이상인 경우에는 당원 비율을 현행 50%로 유지하자는 제안이 나왔다“며 ”246개 지역구 중 여기에 해당하는 곳은 90여 개”라고 말했다. 책임당원이 많은 지역일수록 당원의 투표 결과가 왜곡될 여지는 적다는 근거에 따라서다.

또 다른 특위 위원은 “50대 50과 30대 70을 주장하던 양쪽의 체면을 다 살리는 절충안으로 굉장히 좋은 아이디어라 생각한다”며 “1%는 너무 많다는 의견도 있어서 0.5%~1% 사이로 최고위에서 결정해달라고 요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가산점은 신인이면서 여성ㆍ청년ㆍ장애인인 경우 득표 수의 20%를 더 주는 데 이견이 없었지만, 단지 여성일 경우에도 10%를 줄지에 대해선 최고위로 결정권을 넘겼다.

신인의 범위에 대해선 차관급 정무직 공무원은 신인으로 인정하기로 하되, 장관급도 신인으로 볼지 여부는 합의하지 못했다. 현역의원 컷오프는 상향식 공천제의 취지와 맞지 않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지만, 일단 필요성을 주장하는 의원들이 있어 최고위에서 한번 더 논의키로 했다고 한다.

비박계는 “현행 당헌당규에 있는대로 단수 추천제와 우선추천지역제를 활용하면 본선 경쟁력을 갖춘 후보를 낼 수 있다”며 컷오프에 반대하고 있다.

휴대전화 안심번호 도입 여부는 기술적으로 도입이 가능한지 향후 출범하는 공천관리위원회에서 검토해 채택하도록 공을 넘겼다.

이같은 논의 결과는 7일 최고위에서 보고한 후, 필요시 다시 공천특위를 열어 재논의할 수 있다는 방침이다. 황진하 사무총장은 회의 후 브리핑에서“최고위에서 결정이 나기 어려운 사항도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며 “당헌당규를 수정해야 할 경우 의원총회와 상임전국위원회를 개최해야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친박계 김태흠 의원은 현역의원 평가제 도입 등을 주장했지만 관철되지 않자 “(특위가) 상향식 공천이라는 미명아래 참신한 인물영입과 신인등용의 장벽을 높이 쌓으며 현역의원 기득권 지켜주기에 급급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이날 회의에 불참하고 특위 위원직 사퇴를 선언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