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넘쳐나는 민간자격증, 태반이 '취업 가산점' 못받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취업난의 가중으로 ‘스펙용 민간자격증’ 수가 급속이 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실제 공기업이나 일반기업에서 가산접을 받을 수 있는 자격증은 극히 일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민간자격과 관련한 소비자 불만도 매년 1500여건 이상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2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으로 등록된 민간자격은 1만7300여개로 우리나라 표준 직업수(약 1만1400개)보다 훨씬 많았다. 그러나 이중 공인자격은 0.6%(97개)에 불과했다.

소비자원은 2010년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접수된 ‘자격’관련 소비자 불만 상담은 총 9060건이며 피해구제 501건을 분석한 결과 ‘자격증 취득 학원 피해’가 절반이 넘는 51.5%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이어 ‘취업·고소득 보장 등 허위·과장광고’(24.9%), ‘자격증 교재의 품질 및 계약’(23%)으로 인한 피해 순이었다.

민간자격증은 주로 취업용이었다.

소비자원이 민간자격증을 1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20~30대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자격증을 취득한 가장 중요한 이유를 묻자 10명 중 8명(81.3%)이 ‘취업에 활용하기 위해’라고 답했다. 그러나 정작 지난 5월28일부터 6월10일까지 2주 동안 공기업과 일반기업 채용 31건을 분석해보니 지원 자격으로 명시된 ‘필수 자격증’과 서류전형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우대 자격증’에 민간자격증이 포함된 건은 한 건도 없었다. 이런 민간자격증에는 ‘영어연극 뮤지컬교사 자격증’, ‘자기주도학습지도 자격증’, ‘노인심리상담사 자격증’, ‘요양보호사 자격증’ 등이 있었다.

이와 관련 민간자격증 취득자 중 무려 61.3%는 본인이 취득한 민간자격을 국가전문자격이나 국가기술자격으로 잘 못 알고 있었다. 민간자격이라고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는 21.9%에 불과했다. 한국소비자원은 민간자격증을 취득하기 전에 해당 민간자격증이 실제 취업에 도움이 되는지, 자격증 취득을 구실로 비싼 학원수강이나 교재구입을 유도하지는 않는지, 소비자 불만·피해가 많이 접수되고 있지는 않은지 등을 잘 알아보고 취득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소아 기자 ls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