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동 걸린 박병호, 아시아 홈런왕 양보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8면

기사 이미지

아시아 최고의 홈런타자는 누구일까.

14일 멕시코전서 마수걸이 솔로포
‘프리미어 12’ 예선 3경기 부진 날려
2홈런 13타점 맹타 일본 나카타
홈런 4개 날린 대만 린즈셩 추격
한국, 미국에 져 B조 3위로 8강
오늘 오후 7시30분 쿠바와 대결

 한국·일본·대만이 자랑하는 오른손 강타자 박병호(29·넥센)·나카타 쇼(26·니혼햄)·린즈셩(33·라미고)이 프리미어 12에서 홈런왕 삼국지(三國志)를 펼치고 있다.

 지난 14일 타이베이 톈무구장에서 열린 B조 예선 한국-멕시코전. 3회 초 박병호의 방망이가 힘껏 돌았다. 빨랫줄처럼 날아간 타구는 우중간 담장을 넘어갔다. 이번 대회 4경기 만에 터진 첫 홈런이었다.

 올해까지 4년 연속 홈런왕에 오른 박병호의 파워가 돋보이는 장면이었다. 상대 투수 세자르 카리요는 자신의 장기인 싱커를 뿌렸다. 오른손 타자 몸쪽으로 달라붙는 싱커는 홈런을 치기 쉽지 않은 구종이다. 박병호는 억지로 잡아당기지 않고 밀어서 우중간 가장 깊숙한 곳으로 타구를 날려 톈무구장의 맞바람을 뚫었다. 대만 팬들도 박병호의 힘에 탄성을 내질렀다. LA 다저스 스카우트 출신인 마이크 브리토 멕시코 대표팀 감독은 “박병호는 메이저리거급 선수”라고 칭찬했다.

 첫 홈런이 터지기 전까지 박병호는 상당한 부담감에 시달렸다. 이번 대회기간 그의 메이저리그 진출을 위한 포스팅(비공개 입찰)이 진행됐기 때문이다. 지난 10일 포스팅에서 승리한 구단이 미네소타로 밝혀졌지만 박병호는 “아직 계약이 된 게 아니라서 지금은 드릴 말씀이 없다. 대회에 집중하겠다”며 몸을 낮췄다. 그러나 팬들과 미디어의 관심이 그에게 쏠려 부담을 준 건 분명했다. 도미니카공화국과 베네수엘라와의 경기에서 박병호는 8타수·무안타·1볼넷에 그쳤다.

 스트레스가 가중될 시점에 박병호는 결정적인 홈런을 때려내며 멕시코전 4-3 승리를 이끌었다. 8강 진출을 확정한 뒤 박병호는 “다른 선수들이 너무 잘했다. 심리적인 압박이 있었지만 잊으려고 했다. 팬들도 ‘힘내라’고 응원해 주셔서 고마웠다”고 말했다. 박병호는 15일 오른발가락 통증 탓에 미국전 선발 라인업에서 빠졌다. 8회 대타로 나와 큼지막한 타구를 날렸으나 담장 앞에서 좌익수에게 잡혔다. 부상이 심하지 않아 16일 8강전에서는 정상적으로 출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주포 나카타를 앞세워 5전 전승으로 B조 1위에 올랐다. 나카타는 11일 멕시코전에서 0-1이던 2회 역전 투런홈런을 쳤다. 3회와 5회에도 적시타를 때린 그는 5-5이던 9회 끝내기 안타까지 날렸다. 12일 도미니카공화국전 2-2이던 8회 2타점 2루타를 친 나카타는 14일 미국전에서도 결승 스리런포를 터트렸다. 3경기 연속 결승타를 날린 그를 두고 대만 일간지 자유시보(自由時報)는 ‘동양 최고의 강타자’라고 극찬했다. 나카다는 대회 타점 1위(13개·15일 현재)를 달리고 있다. 나카타는 오사카 도인고 시절 87개의 홈런을 때려내 고교 최다 홈런기록을 세웠다. 2007년 프로 데뷔 후 통산 타율이 0.259에 그쳤지만 올해 홈런 30개(퍼시픽리그 6위)를 때릴 만큼 파괴력은 일본 타자 중 최고 수준이다.

 개최국 대만의 자존심 린즈셩은 14일 쿠바전에서 1-1로 맞선 8회 3점 아치를 그렸다. 9년 만의 쿠바전 승리를 이끈 홈런이었다. 린즈셩은 15일 푸에르토리코와의 경기에서도 선제 솔로포를 치는 등 대회 홈런 1위(4개)에 올랐다. A조 5위에 그친 대만은 8강 진출에 실패했으나 린즈셩의 장타력은 단연 돋보였다. 1m83㎝·100㎏의 당당한 체격을 갖춘 린즈셩은 올 시즌 대만리그에서 타율 0.380을 기록하며 홈런 2위(31개)에 올랐다.

 ◆한국, 승부치기 끝에 미국에 패배=한국은 15일 톈무구장에서 열린 예선 최종전에서 미국에 2-3으로 졌다. 선발 김광현이 4과3분의2이닝 동안 2실점했지만 0-2로 뒤진 7회 1사 2·3루에서 민병헌이 2타점 동점타를 쳐내며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렸다. 경기는 승부치기(무사 1·2루에서 공격 시작)로 진행된 연장전에서 갈렸다. 10회 초 2사 1루에서 2루심 왕청헝(대만)이 애덤 프레이저의 2루 도루 아웃을 세이프로 판정한 것이 승부를 바꿨다. 프레이저의 득점으로 1점을 내준 한국은 10회 말 득점에 실패했다. B조 3위(3승2패)가 된 한국은 16일 오후 7시30분 쿠바와 준준결승에서 맞붙는다. 선발투수는 장원준이다.

타이베이(대만)=김효경 기자 kaypubb@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