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대변인에 정연국…현직 언론인 임명 논란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청와대 새 대변인에 정연국(54) 전 MBC 시사제작국장을 임명했다. 정 신임 대변인은 대변인 자리를 제안받고 MBC에 사표를 내기 직전까지 시사 프로그램인 ‘100분 토론’을 진행해왔다. 청와대 대변인 자리는 민경욱 전 대변인이 내년 4월 총선(인천지역)에 출마하기 위해 지난 5일 사직한 이후 20일째 공석이었다. 정 신임 대변인은 울산 출신으로 중앙대 독일어교육학과를 졸업했다. MBC에선 런던특파원, 사회2부장, 선거방송기획단장 등을 지냈다.

박 대통령은 또 신임 춘추관장(보도지원비서관)에 육동인(53) 금융위원회 대변인을 발탁했다. 춘추관장 직은 전광삼 전 관장이 총선에 출마하겠다며 지난달 22일 사의를 표명한 이후 33일째 비어 있었다. 강원 춘천 출신으로 서울대 서양사학과를 졸업한 육 신임 관장은 한국경제신문에서 논설위원, 금융·사회부장을 지냈다. 또 국회사무처 홍보기획관 등을 거쳐 지난해부터 금융위원회 대변인으로 활동해왔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일요일인 이날 오후 정 신임 대변인, 육 신임 관장과 함께 청와대 기자실인 춘추관을 찾아와 인선 내용을 발표했다. 청와대 대변인과 춘추관장은 1급 비서관 자리다. 정 신임 대변인은 이 자리에서 “아는 게 없지만 많이 배우면서 열심히 함께 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청와대가 민경욱 전 대변인에 이어 이번에도 전직이 아닌, 현직 언론인을 대변인으로 임명함에 따라 ‘방송의 공정성’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에서 “권력의 잘못을 비판해야할 책무를 가진 현직 언론인이 권력의 중심으로 자리를 옮긴 것은 매우 부적절한 인사”라며 “민경욱 전 대변인에 이어 또 다시 현직 언론인을 (대변인으로) 임명한 것은 잘못된 관행이나 권언유착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신용호·이지상 기자 ’nov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