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감염병·식량난 해결할 열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기사 이미지

‘한·독 연합 콘퍼런스’가 ‘과학과 혁신’을 주제로 13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렸다. 박영아 한국 과학기술기획평가원장이 ‘세월호 이후 위기관리 국가혁신시스템’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신인섭 기자]

‘과학과 혁신(science and innovation)’을 주제로 한국과 독일의 학자들이 머리를 맞댔다. 독일 측에서는 노벨상 수상자도 나섰다. 7회를 맞이한 한·독 국제학술대회에서다.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13일 열린 이 행사에는 박근혜 대통령 초대로 방한 중인 요아힘 가우크 독일 대통령과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김황식 전 총리 등이 참석했다. 가우크 대통령은 축사에서 “혁신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감염병, 자원 및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열쇠지만 국민은 새로운 기술과 혁신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정치인과 기업가들은 혁신을 외치기에 앞서 실제로 혁신을 구현할 리더십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독일 국제학술대회 열려
바이오·데이터과학 … 4개 분야 토론
독일 대통령, 노벨상 수상자도 참석

 기조 연설은 199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생물학자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 폴하르트(73·여)가 맡았다. 곤충의 유충 연구를 해온 그는 초파리 몸체의 각 부분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확인한 공로로 노벨상 수상자가 됐다. 그는 “생물의 진화 과정을 밝혀내는 것은 곧 혁신 과정을 확인하는 작업”이라며 찰스 다윈의 자연선택설로 혁신의 동력을 설명했다. 자연선택설은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도록 변이된 개체가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아 유전자를 퍼뜨린다는 학설이다. 그는 “인간의 피부색이 다른 건 자연에 적응하는 혁신 과정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다. 동물의 진화 과정에서 일어난 유전자 변이를 혁신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산업 4.0, 위험관리와 혁신, 바이오, 데이터 과학 등 4개 분야로 나뉘어 토론이 진행됐다. 그중 위험관리와 혁신 세션이 특히 주목을 받았다. 발제자인 박영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장은 “세월호 등 각종 사고 및 재난·재해가 늘어남에 따라 위기관리의 국가혁신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울대 이재열(사회학과) 교수는 “위험관리는 기술뿐만 아니라 사회의 문화와도 연관돼 있다. 위험을 극복하는 문화적 토양을 새롭게 다져나가는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글=강기헌 기자 emckk@joongang.co.kr
사진=신인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