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신용등급 상향조정, 큰 기대는 마세요"

중앙일보

입력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상향 조정 됐지만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16일 오전 9시40분 현재 코스피는 전날 보다 1.22% 오른 1961.11에 거래 중이다. 코스닥 지수도 0.97% 오른 673.20을 기록 중이다. 전날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다섯 번째로 높은 ‘A+’에서 네 번째 단계인 ‘AA-’로 상향 조정한 것을 감안하면 상승 폭이 크지 않은 셈이다.

증권가에선 “예상했던 일”이라는 반응이다.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은 호재가 맞지만 악재가 워낙 많기 때문이다. 김정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 중국 경기 부진 우려 같은 덩치 큰 악재가 투자 심리엔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미국 금리 인상 이슈와 관련 이번 주말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까지는 관망세가 강하게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S&P가 통상 다른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나 피치보다 신용등급 조정을 늦게 한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지난해 9월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해 신용등급 상향 조정이 예상돼 왔다.

S&P가 과거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했을 때도 외국인 순매수가 뚜렷하게 나타나진 않았다. 김경욱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2000년 이후 이번을 제외하고 총 3번의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이 있었지만 외국인 순매수로 연결되진 않았다”고 말했다. 2001년과 2005년 상향 조정 땐 증시가 회복기이거나 상승장이었기 때문에 코스피 상승을 국가 신용등급 조정 때문으로만 보기 어렵고, 코스피 박스권에 갇혔던 2012년엔 오히려 하락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영향이 크진 않아도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이 시장에 호재인 것은 분명하다. 김정현 연구원은 “미국 금리 인상과 중국 경기 둔화 같은 대외 불확실성 커지는 상황에서 다른 신흥국과 달리 탄탄한 펀더멘털(기초체력)이 부각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정선언 기자 jung.sune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