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 "수면 부족 청소년 자살 위험 높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청소년이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면 자살 관련 행동을 할 위험이 최대 2.5배까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을지대 의료경영학과 유기봉 교수와 연세대 보건대학원 박은철 교수팀은 2011~2013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수면 시간과 자살 행동(자살 생각, 계획, 시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조사는 국내 청소년(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3학년) 19만1642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논문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수면시간이 짧아질수록 자살 행동 위험이 높아지는 양상이 뚜렷했다. 하루에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인 청소년은 7시간 자는 학생보다 자살에 대해 생각하는 비율이 1.5배 높았다. 7시간 이상 자는 경우엔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이 0.6배 수준으로 떨어졌다.

잠자리에 들고 나는 시간도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하루 7시간 이상 잠을 자더라도 기상 시간이 아침 7시보다 더 이른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자살생각이 1.2배 높아졌다. 7시 이전 시간에 일찍 일어날수록 자살시도, 자살계획의 위험도도 높아졌다. 또 취침시간은 오후 11시를 기준으로 이보다 빠른 9시나 10시 이전에 잠자리에 들면 자살생각은 1.7배, 자살계획은 2.5배, 자살시도는 1.3배 늘었다. 오전 2시를 넘겨 늦게 잠자리에 들어도 자살시도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하루 수면 시간이 7~8시간 정도는 돼야 하고, 취침시간은 11시, 기상시간은 7시일때 청소년들이 자살관련 행동 위험이 가장 낮아진다고 결론을 내렸다. 지난해 3월 대한수면학회가 전국 중ㆍ고생 2만639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의 주중 하루 수면 시간은 평균 399.4분(6.65시간)이었다. 유기봉 교수는 "청소년들이 최소 7시간 이상 잘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의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