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게소 청년창업 매장 연말까지 78개로 늘릴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한국도로공사 김학송(63·사진) 사장은 “지난 50년 동안엔 국가 도로망을 건설해 경제발전의 초석을 다졌다”며 “앞으로는 더욱 스마트한 도로망을 구축해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문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6일 말했다. 김 사장은 “미래형 고속도로인 ‘스마트 하이웨이’처럼 국민의 안전과 편의를 높이는 사업에 집중 투자할 것”이라며 “친환경 고속도로와 청년창업휴게소처럼 사회 문제 해결에도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세계도로대회가 11월 서울에서 열린다던데.

 “1908년부터 세계도로협회가 4년마다 주최하는 행사다. 2~6일 100여개 국가 3만5000여 명이 참석한다. ‘스마트 하이웨이’ 등 앞선 기술력을 세계에 전파할 수 있는 자리다. 50년 전만 해도 대한민국은 도로 후진국이었지만 지금은 최첨단 도로를 가진 나라가 됐다. 특히 ‘스마트 하이웨이’ 기술은 외국에도 수출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췄다.”

 -도로공사는 어떤 역할을 하나.

 “앞으로는 단순히 도로를 놓는데만 그치지 않고 국민의 편의와 안전 등 질적인 성숙에 집중하겠다. 자체 입찰로 기름값을 대폭 낮춘 ‘엑스 오일(ex-oil)’ 사업이나 보급형 하이패스 단말기 사업은 고객 만족을 최우선에 둔 정책이었다. 특히 이 단말기는 지난 9월 출시해 100만대가 팔릴 만큼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내부적으론 고질적 문제인 방만경영을 해소해야 한다. 강도높은 개혁을 통해 도로공사는 2014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A등급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사회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인데.

 “기업도 시민이다. 특히 공기업은 공공의 문제를 해소하는데 더욱 적극적 역할을 해야 한다. 가장 큰 문제인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난 4월부터 전국 휴게소 9곳에 29개의 청년창업 매장을 열었다. 연말까지 78개 휴게소로 확대할 방침이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선 나들목 등 고속도로 인근 부지에 생태습지를 만들고 몇년째 나무를 심고 있다.”  

윤석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