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양호, 세자녀에 대해 언급하며 "눈물도 흘려보고 찬밥도 먹었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16일 파리 인근의 르부르제 공항에서 열린 파리 에어쇼에서 세 자녀의 후계 구도에 대해 언급했다. 이른바 ‘땅콩 회항’ 사건으로 물의를 빚은 조현아 대한항공 부사장도 포함해서다.

조 회장은 “덮어놓고 다음 세대에 넘겨주는 게 아니라 능력이 있어야 한다”며 “세 명이 각자 역할의 전문성이 있는데 그 전문성을 최대한 살리겠다. 능력에 맞게 트레이닝을 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선친에게서 능력을 인정받아서 (물려받았는데) 아이들도 마찬가지”고 했다. 특히 조현아 부사장을 의식한 듯 “스포일드된(응석받이로 자란) 아이들이 아니다. 눈물도 흘려보고 찬밥도 먹었고 고생할 것도 했다. 자기가 하고 싶어하는 전문성을 갖고 노력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날 대한항공은 보잉과 에어버스로부터 중·단거리용 차세대 기종을 각각 50대까지 살 수 있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조 회장은 아들인 조원태 부사장이 항공기 도입 계약 체결식에 동석하게 된 것과 관련, “지금 훈련을 시키는 것”이라며 “비행기는 마케팅ㆍ정비 등 여러 측면에서 고려할 게 많은데 협상을 하면서 배우는 게 많다”고 말했다.

조 회장은 “세 자녀가 경영 수업을 하다 상황이 바뀌어 둘이 일하고 있다”는 질문엔 “지금 여기서 얘기할 사항이 아니다. 여기에선 비행기 얘기만 해자”고 말을 아꼈다.

“땅콩 회항이 경영상 어떤 변화를 줬느냐”는 질문엔 “소통에 대한 문제점이 있어서 소통 광장이란 걸 만들었다”며 “틈이 있을 때마다 보고 진짜 직원들이 원하는 것 중 당연히 해줘야 하는 건데 절차 때문에 또 비용 절감 차원이란 측면에서 경직돼 있은 걸 얼른얼른 뚫어주고 고쳐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소통 광장’은 익명성이 보장되는 공간이라고 한다.

독일 저먼윙스 추락 사고로 확인된 조종사의 정신 건강 문제를 두곤 “전 항공사가 걱정하는 것이지만 정답이 없어 나라마다 연구하고 있다”며 “조종사에 대해 6개월마다 건강 체크한다. 정신 부분은 애매해 최대한 관찰하려고 한다. 또 조종실 내에서 대화하면서 문제를 찾아내려고 한다”고 했다.

조 회장은 보잉과 에어버스 양사를 모두 선택한 데 대해 “고객의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하고 효율성과 경쟁성을 고려했다.

한 군데 의존하지 않고 비교해서 가장 좋은 기종을 선정했다”며 “비행기는 제작 철학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에어버스 (조종사는)는 에어버스 계열로, 보잉은 보잉 계열로 가는 게 파이럿에겐 좋다”고 설명했다. 대규모 주문을 두곤 “경쟁이 치열해지는데 대비해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파리=고정애 특파원 ockh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