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진의 부동산 맥짚기] KTX 수서역 일대 개발설에 들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최영진
부동산전문기자

서울시는 KTX 수서역 일대 60만㎡에 미래형 복합타운을 개발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개발 대상은 수서역사부지·수서차량기지와 역사남측의 민간부지다. 시는 이를 위해 ‘수서·문정 지역중심 종합관리 방안’을 수립키로 했다. 복합타운 조성에 앞서 관련 지역의 무분별한 개발을 방지하겠다는 뜻이다.

 현재 이곳은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로 묶여 있어 개별적인 개발은 제한되지만 수서역사는 공공성을 들어 건립이 허용됐다. 내년초 개통 목표로 건립 중인 수서역사는 지하1층, 지상 3층의 총연면적 11만8000㎡크기다. 시는 이를 계기로 이 일대 그린벨트를 풀어 고밀도 복합타운을 건설하겠다는 생각이다. 수서역사를 포함해 차량기지와 역사남측 민간소유 땅에 중소산업 클러스터 같은 복합업무단지와 공동주택, 상가시설이 함께하는 형태가 될 것 같다. 일자리 창출 기능이 들어간다는 게 특징이다.

 시는 이와 함께 인근의 동남권 유통단지, 법조단지와 주거용 오피스텔이 건설되는 문정도시개발사업구역,현대화 사업이 진행 중인 가락농수산물시장을 연계해 이 일대 340만㎡를 강남의 새로운 지역중심으로 육성한다는 담대한 구상도 갖고 있다.

 이런 방대한 계획을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수서역세권 복합타운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복합기능을 갖는 도시가 만들어지면 주변과의 연담화로 지역중심지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수서복합타운 개발에 걸림돌도 많다. 우선 그린벨트 해제 여부다. 해제권한이 지방자치단체로 대폭 이관됐지만 중앙정부가 반대하면 해제가 어렵다. 대규모 복합타운 개발로 인한 교통난 해결도 쉽지 않다. 또한 민간부지 지주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듯 싶다. 수용이 아닌 개별 개발을 요구할게 뻔하다.

 시는 이를 의식해 복합도시를 한꺼번에 조성하지 않고 단계별로 추진하는 방안을 강구 중인 모양이다.

 이런 가운데 수서복합도시 개발설이 나돌면서 이 일대 부동산가는 웃음이 가득하다. 올 들어서만 수서권 아파트값이 4000만~5000만원 정도 올랐다. 특히 복합타운으로 편입될 민간 소유토지는 금싸라기 땅으로 바뀐다. 그린벨트 해제 전에 공공사업 명목으로 토지가 수용될 여지가 많지만 그렇다 해도 지주에게 돌아가는 이익은 엄청나다.

 궁마을·쟁골과 같은 주변 그린벨트 내의 단독주택가도 관심 대상이다. 복합타운 개발과 함께 이 지역도 그린벨트가 풀리지 않겠느냐 기대감 때문이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새로운 주거타운으로 개발될 것이라는 얘기가 나돈다. 시세는 3.3㎡당 1500만~2500만원선이다.

 반면에 수서복합타운 개발은 지방 도시의 희생을 불러 올지 모른다. 최근 대한국토·도시학회가 주체한 ‘수서·문정지구 관리및 육성 방안’ 관련 토론회에서 김우영 성균관대 교수도 “수서KTX역사 건설로 지방 수요를 서울로 유입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지방은 손해를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수서역의 영향력은 그만큼 크다는 소리다.

최영진 부동산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