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를 지키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수해복구를 위해 3백억원의 예비비방출, 피해이재민과 사업체들에 대한 조세감면과 금융자원등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이번 수해의 피해가 워낙 방대하고 피해상황도 시간이 경과할수록 늘어날것으로 보여 추가예산을 편성하거나 기채를 늘리더라도 복구와 수습에 만전을 기해야 할것이다.
재해의 복구는 우선 원상 회복과 개간, 이재민 구호가 최우선 과제이지만 그에 못지않게 재해에 뒤따르는 경제적 후유증에도 세심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수재에 따른 이재민의 재산과 소득의 상실을 적절히 보상해주는 일이다. 피해 농민에 대한 각종 조세·공과금 감면은 물론 풍년 농사를 지키기 의한 각종 방제자금의 지원과 영농자금 상환연기에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도시지역 이재민들의 피해도 현실적인 재해복구지원과 금융지원을 통해 조속히 복구되어야 할 것이다.
대형 재해의 또 하나의 후유증은 물자 수급의 혼란이다. 특히 주곡을 포함한 농수산물과 기초 생필품의 유통혼란이 예상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이런 혼란을 틈탄 매점매석·물가앙등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시기적으로 물가가 올라가는 추석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사소한 수급 불안정조차 가격파동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점이다. 추곡의 작황이 이번 재해에도 불구하고 큰 손실을 입지 않은 것으로 보도되고 있으나 수송·출하의 부조와 유통기구의 불안정이 때아닌 물가앙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점에 비추어 주곡 유통에 대한 보다 철저한 감시가 필요할 것이다.
이와 함께 추석 성수품인 각종 농수산물과 기초 공산품들은 지금부터라도 정부보유분을 충분히 물어 가격안정을 기하는 한편 시장감시를 강화하여 혼란을 틈탄 가격농간을 최소한으로 줄여가야 할것이다.
소비자들도 이같은 중간 유통과정의 혼란을 줄이는데 기여하도록 협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행정력을 동원해서라도 최소한 추석을 넘길때까지는 생필품 시장에 대한 1일감시와 출하독려를 게을리 해서는 안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번 비로 김장채소와 양념류 등 밭작물의 피해가 심각하여 추석과 김장철을 계기로 값이 오를 가능성은 매우 높다.
따라서 절대량이 크게 모자라는 일부 품목들은 수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농산물가 행정의 기민한 대응이 어느 때보다 긴요한 싯점이라 하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