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이하경 칼럼

세월호, 이완구 … '고해성사'가 출구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이하경 기자 중앙일보 대기자
이하경
논설주간

우리가 탄 배는 지금 이름조차 알 수 없는 어느 낯선 항구에서 방황하고 있다. 그 어디로 뱃머리를 돌려도 출구가 보이지 않는 아포리아(aporia)의 절망이 기다릴 뿐이다. 목적지 제주에 유채꽃 흐드러지던 2014년 4월 16일, 기울어진 상태로 서해안을 떠다니던 위태로운 구조물이 맹골수도를 만나 꽃보다 귀한 304명의 생명을 수장(水葬)시킨 후유증이다.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은 세월호 1년, 이제 어찌해야 할 것인가.

 생명이 없는 돈을 위해 살아 숨 쉬는 생명을 버린 것이 세월호 비극의 본질이다. 이러고도 우리가 문명의 세계에 속해 있다고 할 수 있을까. 계절이 한 바퀴를 순환하는 동안에도 진상은 시원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시신이라도 찾아 실종자 가족이 아닌 유가족이 되고 싶다”는 이승에서 가장 슬픈 소원은 외면당했다. 정부는 여론에 떠밀려 선체 인양을 결정했지만 망각을 강요했던 비정(非情)의 기억은 쉽게 잊히지 않을 것이다.

 세월호가 생명의 가치를 마음껏 모욕하는 동안 성완종 리스트는 연일 정치의 위선을 폭로하고 있다. 리스트가 사실이라면, 그래서 이완구 총리를 포함한 이 나라의 실세가 너도나도 돈다발을 덥석덥석 받고, 그 돈으로 정권을 만들었다면, 정치는 스스로에게 파산을 선고해야 할 것이다.

 현대차, SK, LG, 삼성….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은 2002년 말 대선 때 대기업들로부터 차떼기로 돈을 받았다. 이런 사실이 드러나 궤멸 위기에 몰리던 2004년 3월에는 천막 당사를 만들어 걸어 들어갔다. ‘천막 정신’으로 깨끗한 정치를 하겠다고 다짐해 표를 받았고, 두 차례나 대선에서 승리했다. 그런데 당내 경선과 대선을 앞두고 건설업자의 돈을 받았다면 다시 ‘차떼기당’으로 돌아간 것 아닌가. 이렇게 국민을 상대로 사기를 쳤다면 정권을 도로 내놓아야 할 일이다.

 우리에겐 아시아에서 가장 민주주의를 잘하는 나라라는 자부심 하나는 있었다. 국민이 5년에 한 번 투표해 정권을 선택하고, 언론이 정부를 호되게 비판하는 건 힘이 센 중국·일본도 못 따라온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어느 나라에서도 권력의 실세가 업자로부터 줄줄이 돈을 받았다는 얘기를 들어본 일이 없다. 업자가 필사적으로 구명을 시도한 사실에서 드러났듯, 돈다발은 공짜가 아니었다. 그가 거래한 금융권 사람들에게 은근히 정치권의 배경을 과시했다는 증언까지 나오고 있지 않은가.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세계 일류면 무엇 하나. 생명보다 돈이 더 중요하고, 돈만 있으면 정치도 요리하고, 사업도 키울 수 있는 나라는 삼류다. 보수도, 진보도, 민주주의도 뿌리를 못 내린 부끄러운 자화상이다.

 이렇게 세월호와 성완종, 이완구의 충격이 한꺼번에 공동체를 흔들고 있어서인지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고해성사가 예사롭게 들리지 않는다. 그는 원내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스스로를 향해 물었다. “희생자와 실종자 가족들에게 국가는 왜 존재하는가. 우리가 이분들의 눈물을 닦아드려야 하지 않겠는가.” 비로소 부끄러움을 아는 보수가 등장했다.

그는 자신이 꿈꾸는 보수를 “정의롭고 공정하며, 진실되고 책임을 지며, 따뜻한 공동체의 건설을 위해 노력하는 보수”라고 정리했다. 경쟁할 땐 하더라도 당신이 물에 빠지면 어떻게든 구해주겠다는 관용과 연대의 진정성이 흘러 넘친다. 야당 대변인은 “보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보여준 명연설”이라고 논평했다. 진영을 넘어선 여야 합의 정치의 길이 보이기 시작했다.

 유승민의 정신적 멘토는 보수주의의 원조인 18세기 영국의 정치사상가 에드먼드 버크다. 그는 “이회창 후보의 참모로 치렀던 2002년 대선에서 패배하고 한림대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버크의 저서 『프랑스 혁명에 관한 고찰』을 읽고 보수의 진정한 길을 고민했다”고 했다. 버크는 1789년 프랑스대혁명의 소용돌이를 목격하면서 보수의 선제적이고 과감한 혁신만이 혼란을 막을 것이라고 확신한 사람이다. 영국 보수당이 300년 넘게 존속한 것은 버크와 디즈레일리를 포함한 용기 있는 개혁적 보수주의자들의 공이다.

 이들은 산업혁명 이후 전면에 등장한 부르주아와 노동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지지 기반인 귀족과 지주 중심의 세계관에서 탈피했다. 고통스러웠지만 공동체를 존속시키기 위해 변화를 선택한 것이다. 물론 유승민이 꺼낸 새로운 보수 노선을 불온시 하는 세력도 있다. 하지만 혁명적 수준의 쇄신이 아니면 분노한 민심을 달랠 수 없다. 버크는 “과거로써 미래를 설계할 수 없다”고 했다. 집권세력이 ‘세월호’와 ‘성완종 리스트’가 버티고 있는 절망의 아포리아를 벗어나려면 어두운 과거와 결별하고 유승민의 건강한 보수를 직시해야 할 것이다.

이하경 논설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