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미국 금리, 인상 시점보다 속도가 중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의 금리 인상, 시점보다 속도가 중요하다.” 20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금리 인상 계획을 두고 “불확실성이 높아졌고 그에 따라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국내 은행장들과 만난 자리에서다.

이 총재는 “(미국 정책금리) 인상 시점이 6월이나 9월이나 (언제가 될 지도) 중요하지만 더 관심을 갖고 있는 건 인상 속도”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 Fed가) 한 두번 올릴 게 아니고, 앞으로 금리 인상 기조로 접어들면 연속적으로 올릴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 한은이 통화정책 방향을 정함에 있어 “국내 지표뿐 아니라 미국 지표도 면밀히 살펴봐야 할 상황”이라고 짚었다. 대신 미국이 현재 0~0.25%로 사실상 0%인 정책금리를 연말까지 빠른 속도로 올리진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앞으로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속도는 점진적일 전망”이라며 “시장의 충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총재가 ‘불확실성’과 ‘미 정책금리 인상 속도’를 강조하면서 추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한층 커졌다. 미국 정책금리 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늦춰진다는 건 한국 같은 신흥국으로선 시간을 벌었다는 의미도 된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 셈이다. 한은은 지난 12일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인 연 1.75%로 낮췄다.

한편 이날 금융협의회엔 윤종규 국민은행장, 이광구 우리은행장, 조용병 신한은행장을 비롯한 11개 은행 대표가 참석했다.

조현숙 기자
[사진 뉴시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