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의 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구미선진국들은 모두가 과학교육의 중요성에 일찌기 눈을 떠 이 분야에 끊임없는 투자를 늘려가고 있는 나라들이다.
미국 영국 독일은 말할것도 없고 일본의 경우 명치유신때부터 서구과학문명을 재빨리 흡수, 소화함으로써 오늘날 세계적인 경제대국이 되었다.
일본은 이미 지난53년 이과교육진흥법을 만들어 초 중고교의 이과교육시설에 정부가 비용의 50%를 보조해주기 시작했으며 56년에는 경제백서에서 『일본경제의 미래는 기술혁신에 걸어야한다』고 외치기에 이르렸다. 60년에 등장한 「이께다」(지전용인)내각은 한걸음 더 나아가 과학기술교육 진흥을 국가 3대과제의 하나로 설정, 대학에 이공계학과를 대폭 증설했으며 교수연구보조비도 파격적으로 늘렸다.
요즘은 정부예산의 3%(한국l.5%)를 과학기술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과학기술분야에서 64명의 노벨상수상자를 낸 영국은 국민총생산의 2%(한국0.67%)를 과학기술에 투자하고 있으며 사회보장비등을 감축 또는 동결할 경우에도 과학교육지원비만은 인플레율을 적용, 규모를 꾸준히 늘려왔다. 특히 이 나라에서는 과학분야의 교수대 학생의 비율이 현재 1대9인데도 정부가 올해부터 3개년동안 l억파운드(약1천2백억원)의 예산을 쏟아넣어 우수교수 5백여명의 추가확보시책까지 펴기 시작했다.
서독역시 대학에 대한 과학기술연구 및 개발지원규모를 지난 5년간 8∼10% 늘려왔다.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아래 서독대학의 질은 날로 높아져 전기 전자 생물학등을 지망하는 수험생들은 경쟁이 워낙심해 고교성적이 A등급이라 해도 1∼2년은 기다려야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돼있다.
정부 못지않게 기업들도 열을 올린다. 쉐링이나 바이엘같은 기업체에서 대학에 연구개발을 의뢰, 막대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교수들을 절대적으로 신뢰, 교수의 추천을 거친 졸업생만을 기술인력으로 채용하고있다.
물론 이들 나라의 과학교육이 실습위주로 이뤄지고 있음은 말할나위도 없다. 그런데도 유럽 여러나라는 컴퓨터 반도체 분야등에서 일본에 뒤지고있어 비상이 걸려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