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우주항공산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국내의 항공산업은 시작단계다. 지난해는 신예기인 F-5F 제트전투기를 조립생산, 개가를 올렸지만 전반적인 기술축적은 아직도 미약하다.
항공산업은 막대한 시설과 자금, 고도의 종합기술이 필요하므로 초기에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는 그 동안 항공산업진흥법을 마련해 비행기의 동체는 대한항공이, 엔진은 삼성정밀이 맡아 주로 방위산업과 관련된 생산체계를 갖춰왔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는 헬리콥터와 일부 제트전투기를 조립하는 수준에 올랐다.
항공산업에서는 조립기술도 쉬운 것이 아니다. 전폭기나 여객기는 보통 10만단위의 부품이 들어가고 성능과 규격이 보통 까다롭지 않아 고도의 정밀기술이 확보되지 않는 한 손을 대지 못한다.
우리가 전투기를 조립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도 오랫동안 외국비행기를 정비해 온 경험이 바탕이 된 것이다. 그러나 조립만으로는 생산댓수가 한정되어 지속적인 항공산업을 이끌 수가 없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국내 관련업체들은 항공산업에 뛰어드는 방안을 모색중이다. 그 예로는 ▲외국과의 공동생산 ▲부분조립 ▲부품생산수출 등이 있다
경비행기의 경우는 공동생산을 하자는 외국의 요청도 받고 있다. T산업은 국내연구소와 공동으로 경비행기 생산기술에 참여했다. 부분조립은 우리나라의 중공업업체가 외국의 대형항공기제작회사와 손잡고 할 수 있는 일이다. 보잉767기는 생산가격의 30%를 각각 이탈리아와 일본이 참여해 공동제작하고 있다.
아뭏든 국내 기술인력으로 부분조립과 경비행기나 헬리콥터, 업무용 비행기 등은 설계와 일부부품을 제외하고 국산화가 가능한 만큼 국내 업체들의 본격적 참여가 기대되고 있다.
한편 우주산업분야는 불모지나 다름없다.
대학에 연구소 하나 없어 구심점이 없다. 따라서 대학중심의 발사체·인공위성 등의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서울대노오현교수(항공공학과)는 『발사체의 기술이 거의 알려져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개발을 시작한다면 5년 이내에 인공위성을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장재열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