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니스 아리랑' 들어본 적 있나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이탈리아 작곡가인 파올로 푸를라니는 한국 문화를 종종 작곡의 소재로 활용한다. 피렌체 음악원 교수인 그는 콩쥐팥쥐 이야기로 오페라를 만들어 피렌체 무대에 올리기도 했다. 아리랑 선율도 소재 중 하나다. 아리랑을 가지고 올해 완성한 곡에 ‘베니스 아리랑’이란 제목을 붙였다. 작곡가 노트에 “단순한 멜로디가 이토록 강한 영감을 주는 것이 놀랍다”라고 썼다.

 이 작품은 12일 오후 5시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들을 수 있다. 한국가곡연구소가 주최하는 ‘아리랑 한국예술가곡 대축제’에서다. 안숙선 명창이 대금·오케스트라와 함께 부른다.

 ‘베니스 아리랑’을 포함해 각양각색의 아리랑 15곡이 이날 무대에 오른다. 이건용이 아카펠라 8중창으로 만든 아리랑, 최영섭의 ‘독도 아리랑’, 정애련의 ‘장터 아리랑’ 등 대부분 예술가곡 형식이다. 장대한 규모의 아리랑도 소개된다. 이지수의 ‘아리랑 랩소디’는 화려한 오케스트라 곡이다. 김성진 편곡의 ‘아리랑 판타지’는 소프라노, 소리꾼에 진도북춤까지 동원되는 대규모 작품이다.

 한국가곡연구소는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 2주년을 기념해 이 축제를 기획했다. 연구소가 출판한 『아리랑 한국예술가곡집』에 실린 가곡 33편 중 15편을 추린 것이다. 연구소의 최영식 소장은 “세계적으로 보편화된 예술가곡이라는 장르와 아리랑을 결합해 우리 전통문화를 살리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자리”라고 이번 축제를 소개했다. 다음 달 14일 의정부 예술의전당, 12월 2일 서울 국립국악원에서도 같은 공연이 열린다. 안숙선 명창과 소프라노 김영애·임선혜·박현주, 베이스 전승현·손혜수, 테너 신동원 등 쟁쟁한 성악가들이 무대에 선다.

김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