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성화 입법 속도 붙을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기업과 금융권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의 경제 컨트롤타워 역할에 큰 기대를 걸었다. 박근혜 대통령의 심중을 잘 파악하고 있는 데다 장관(옛 지식경제부) 경험이 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에 따라 경제 3개년 계획과 규제 개혁이 가속화하고 국회에 계류 중인 각종 경제 활성화 입법의 처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했다. 임상혁 전국경제인연합회 상무는 “지경부 장관 시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배출권 거래제를 강력 반대했다”며 “국회에서도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신경 썼던 분”이라고 말했다. 오정근 한국경제연구원 초빙 연구위원은 “미래부의 창조경제, 국토부의 부동산 경기 정상화, 금융위의 가계부채, 고용부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같은 정책이 다 맞물려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잘 안 됐다”며 “최 후보자가 부처 간 협업과 소통을 잘 이끌 것”이라고 했다.

 중소기업도 최 후보자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중소기업중앙회 추문갑 홍보실장은 “최 후보자가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의 입장도 잘 이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먼저 성장페달을 밟아야 한다”며 “규제 중에서도 내수의 문고리인 부동산 규제를 풀어 내수를 살렸으면 좋겠다”고 주문했다. 그러나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는 “성장률은 오르지만 양극화가 심화되는 정책이 아니라, 근로자 주머니에 돈이 들어갈 수 있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통신업계에서는 최양희 미래부 장관 후보자가 창조경제 관련 법안 처리에 강한 추진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업계 고위 임원은 “최 후보자는 대학교수지만 각종 학회와 정보통신단체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며 “기업과 협력을 통해 각종 프로젝트를 잘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의 유임과 관련해 각 부처에서는 금융 규제 개혁을 계속 추진할 수 있게 된 점에 안도했다. 그러나 금융사의 의견은 엇갈렸다. 특히 사상 최대 규모의 금융사 징계를 주도한 최 원장의 유임에 대해서는 불편한 심기를 표출하는 인사가 적지 않았다. 한 은행 임원은 “상시감독·사전감독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일이 터진 뒤 정치적으로 징계를 남발해 금융의 신뢰를 떨어뜨린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문병주·안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