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장관 "아베, 책임있는 언행 보여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윤병세 외교부 장관(오른쪽)이 1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원 주최로 열린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협력 국제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을 했다. 왼쪽 앉은 이는 벳쇼 고로 주한 일본대사. [뉴시스]

윤병세 외교장관이 10일 동북아 긴장의 주요 원인으로 일본의 역사인식 문제를 꼽았다. 새누리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주최한 국제심포지엄(‘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협력’)에서다.

 윤 장관은 기조 연설에서 “과거 1년여간 일본 지도자들이 역사수정주의·부정주의 움직임으로 주변국과의 선린관계가 심각히 손상됐다”며 “역사에 대한 반성 없는 평화주의는 공허하다”고 말했다. 최근 “식민지 지배에 사죄한 무라야마(村山) 담화를 계승하고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河野) 담화를 수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게는 진정성을 요구했다. 그는 “아베 총리는 약속을 성실히 지키고 책임 있는 언행을 보여야 한다”며 “위안부 문제 등 시급한 현안에 진정성 있는 자세로 나오라”고 촉구했다.

 발제자로 나선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딘청(Dean Cheng) 아시안센터 선임연구위원은 “중국은 한국이 주도하는 중립화된 한반도 통일을 추구할 가능성이 크다”며 “중국은 한국이 미국과의 연대를 제한하는 조건하에 통일비용을 기꺼이 지원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국 공산당의 고급 간부를 양성하는 국립교육기관인 중앙당교(中央黨校)의 순지안항 국제전략연구소 교수는 “한반도 비핵화는 중국과 한국의 공동이익”이라며 “남북이 직접 접촉을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태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