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연구 초기부터 사업화 목표 … 수출기업으로 비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SK는 계열사 SK이노베이션을 통해 친환경 신소재 기술을 개발중이다.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 원재료인 폴리머로 전환해 실생활에 유용한 그린폴로 만드는 기술이 대표적이다. [사진 SK]

SK그룹은 지난해 창사(1953년) 이후 처음으로 수출액(76조7322억원)이 전체 매출액의 절반을 넘었다. 명실상부한 수출기업으로 전환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올해는 신개념 연구개발(R&D)을 발판으로 또 한번 도약을 준비한다. 그룹 가치 300조원 달성을 위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에 전력을 집중하고 있다.

 SK의 수출 성과는 신개념 R&D 영향이 크다. 연구만을 위한 연구를 벗어나 연구 초기부터 사업화를 목표로 두는 전략이다. 가시적인 성과도 속속 나타나고 있다. SK에너지는 2011년 고염분 원유에서 염분을 제거하는 유수분리(油水分離)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이 없으면 상대적으로 비싼 일반 원유를 수입해야 해 수출경쟁력이 떨어진다. 기술 개발 이후 원유 수입선도 다변화했다. 중동·아프리카보다 가까운 러시아에서 고염분 원유를 대량 수입해 운송비를 크게 줄인 것이다.

SK 관계자는 “고칼슘 원유, 고산도 원유 등 처리가 까다로운 원유(Opportunity Crude)를 정제하는 기술을 대부분 확보했다”며 “안정적으로 원유를 확보해 수출경쟁력뿐만 아니라 국가의 에너지 안보 경쟁력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SK루브리컨츠는 2011년 세계 최초로 초고점도지수 윤활기유 제조공정 기술을 개발, 세계 23개국에서 특허를 땄다. 열대지역이나 시베리아 같은 곳에서도 일정 수준의 끈적임(점도)을 유지시키는 기술로, 프리미엄 윤활유의 원료를 만들 수 있다.

 SK는 친환경 가치와 미래성장동력을 함께 확보하려는 작업도 추진 중이다. 녹색기술 7대 중점 R&D 및 사업화 과제로 ▶무공해 석탄에너지 ▶해양 바이오 연료 ▶태양전지 ▶이산화탄소 자원화 ▶그린카 ▶수소연료전지 ▶첨단 그린 도시(u-Eco City)를 선정했다. 이 중 이산화탄소 자원화와 무공해 석탄에너지는 상업화를 앞두고 있다.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 원재료를 만드는 그린폴로 핸드백과 지갑 등을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석탄을 청정 에너지로 변환하는 그린콜 기술도 자랑거리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면서 석유화학 제품과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박수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