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덮친 스노겟돈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3면

‘설상가설(雪上加雪)’로 불리던 동해안 폭설이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 붕괴 참사로 이어지면서 ‘스노겟돈’이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종말’을 뜻하는 기독교 용어인 ‘아마겟돈’과 눈의 합성어인 ‘스노겟돈(snowgeddon)’은 이번 겨울 폭설이 미국 동부를 강타했을 때 처음 등장했다.

 올해 동해안 폭설은 사상 최악이다. 강릉에는 6일 시작된 눈이 14일까지 이어지면서 9일 연속 눈이 내렸다. 1911년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최장(最長) 기록이다. 또 강릉에 11일 오전 7시 110㎝나 눈이 쌓여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런 동해안 폭설은 북쪽 만주지방의 고기압과 한반도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이 만나면서 거대한 제설기(製雪機)처럼 수분과 찬바람을 섞어 동해안으로 쏘아댄 탓에 발생했다. 고기압은 찬 공기를, 저기압은 수분을 공급했다.

 서울대 허창회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동해에서 불어온 습한 공기가 백두대간에 가로막히면서 눈구름이 만들어지고 폭설로 변했다”며 “반대편 영서지방에선 푄 현상으로 기온이 올라갔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러시아 캄차카반도에 고기압이 버티고 있어 저기압이 동쪽으로 빨리 빠져나가지 못했고, 결국 폭설이 장기화됐다.

 기상청 정관영 대변인은 “2월께면 대륙고기압 세력이 약해져 저기압이 조금 더 북쪽으로 지나게 되면서 폭설로 이어지는 기압 배치가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2월에 강릉에서 30㎝ 이상 눈이 쌓인 경우는 1990년 이후 이번까지 여덟 차례나 된다.

 리조트 체육관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경주에는 기상청 공식 관측 지점은 없지만 리조트에서 북쪽으로 10㎞ 떨어진 해발 341m 토함산(양북면 장항리)에 자동기상관측지점(AWS)이 있다. 토함산에서 측정한 6~17일의 강수량은 97.5㎜로 같은 기간 동해안 평년 강수량 15㎜의 6배 수준이다. 해발 500m인 사고 현장에도 토함산과 엇비슷한 강수량을 기록했다면 1m가량 쌓일 눈이 내렸다는 얘기다. 이 중 일부가 녹거나 증발되고 60㎝ 정도의 눈이 남아 있었다면 사고 체육관 지붕 1㎡당 60㎏ 정도의 하중이 가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상청은 19일에도 동해안에는 낮 동안 눈이 날린 뒤 소강 상태를 보이다가 20일 오후부터 다시 눈이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