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사건 국가기념일 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3면

현대사의 비극으로 불려온 제주 4·3사건(1948년)이 발생 66년 만에 ‘4·3 희생자 추념일’로 명명되고 국가기념일로 공식 지정된다. 이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이 추모 행사에 참석할지 주목된다.

 안전행정부는 16일 4·3 사건을 국가기념일인 ‘4·3 희생자 추념일’로 지정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17일부터 입법예고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안행부는 국가기념일 지정에 대해 “제주 4·3 특별법의 기본 목적인 화해와 상생의 국민 대통합을 도모하려는 취지가 담겼다”고 설명했다.

 국가기념일로 지정됨에 따라 4·3 사건의 재평가 격이 한층 높아지게 됐다. 우선 올해 4월 3일 열리는 위령제를 처음으로 정부가 주관하게 된다. 지난해까지는 제주도 산하 제주 4·3 평화재단이 주관했다. 또 위령제와 추모행사 비용을 국고에서 지원하게 된다.

 위령제 참석 인사 범위가 확대돼 대통령이 참석할 수 있는 길이 공식적으로 열렸다. 2003년 10월 진보 성향의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4·3 사건을 국가권력에 의한 대규모 희생이었다고 인정하며 사과해 논란을 빚었고, 2006년 민간 주도 위령제에 현직 대통령으로 처음 참석했다.

 보수 성향의 이명박 대통령은 임기 중 위령제에 참석하지 않았다. 지난해에는 제주 4·3 유족회가 박근혜 대통령의 위령제 참석을 요청했으나 정홍원 총리가 참석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국가기념일로 처음 지정된 상징성을 감안해 청와대에서 박 대통령의 참석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4·3 사건이 국가기념일이 되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2000년 1월 4·3 특별법이 제정됐고 이듬해 1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해서 발족한 제주 4·3 위원회는 2003년 3월 4·3 사건을 추모기념일로 지정해 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박 대통령은 2012년 12월 제주 지역 대선 유세에서 “제주도민의 아픔이 해소될 때까지 노력하겠다”고 공약했고, 지난해 7월에는 4·3사건 추모기념일 지정을 약속했었다.

 4·3 특별법에 따르면 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 사건을 기점으로 48년 4월 3일 봉기가 발생했고 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무력충돌과 진압 와중에 1만4032명이 숨졌다.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