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식품의 '카누', 저온서 압축해 추출, 커피 원두 고유의 맛 살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3면

카누에는 커피의 맛을 결정짓는 황금비율로 일컬어지는 ‘95:5’ 비율이 있다. 95는 카누의 인스턴트 커피 파우더를, 5는 미분쇄 원두의 함량을 의미한다.

동서식품의 카누(KANU)가 더 섬세해졌다. 원두를 더욱 섬세하게 로스팅하여, 향기, 중후함, 산미, 향 그리고 끝 맛까지 새로워졌다. 카누의 향은 아로마(AROMA)를 닮았고, 바디감은 부드러우며 커피의 맛을 깨우는 산미(Acidicy)는 산뜻해졌다. 비결은 APEX 공법(APEX, Advanced Prime Extraction)이다. APEX 공법은 미세한 원두를 짧은 시간과 낮은 온도로 추출하는 것이다.

 ‘카누’는 커피전문점에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뽑은 커피를 그대로 냉동 건조한 후 커피 파우더에 미세하게 분쇄한 볶은 커피를 코팅한 제품이다. 물에 타기만 하면 바로 커피전문점의 커피 맛을 즐길 수 있다.

 카누에는 커피의 맛을 결정짓는 황금비율로 일컬어지는 ‘95:5’ 비율이 있다. 95는 카누의 인스턴트 커피 파우더를, 5는 미분쇄 원두의 함량을 의미한다. 에스프레소 추출 방식으로 커피액을 추출해 FD공법(동결건조·Freeze Drying)으로 만든 95%의 커피파우더가 진한 에스프레소의 맛과 향을 발현한다. 5%의 미분쇄 원두는 깊고 은은한 커피의 풍미를 낸다. 동서식품 마케팅 최상인 팀장은 “카누에 미분쇄 원두가 5%만 들어있는 것은 다양한 소비자 시장조사를 통해 가장 선호하는 최적의 비율을 찾아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서식품 측은 카누 제품 개발 당시 미분쇄 원두가루의 양을 5%, 10%, 15% 등 다양한 비율로 배합해봤는데, 미분쇄 원두가 많이 들어 있다고 해서 커피의 맛과 향이 더 좋아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했다.

최 팀장은 “오히려 원두가루가 많이 들어갈 경우, 음용할 때 이물감이 많고 시각적으로도 부정적인 이미지가 컸다”면서 “동서식품은 원가 상승을 감수하고서라도 커피의 맛과 향을 최적으로 이끌어 내는 95:5의 황금비율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카누’는 2011년 10월 출시됐다. 지난 5월 9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2013 아시아 마케팅 효율성 페스티벌(Festival of Asian Marketing Effectiveness, FAME)’에서 국내 브랜드 캠페인 최초로 음료 부문과 베스트 인사이트 부문에서 각각 최고상과 동상을 수상했다.

 최 팀장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카페’라는 마케팅 캠페인 메시지를 그대로 구현한 제품 패키지와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인스턴트 원두커피라는 새로운 제품 카테고리의 창출을 이끌었다는 점을 높이 평가 받았다”고 전했다.

 동서식품은 ‘인스턴트 원두커피’라는 개념을 소비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해 발매 초기부터 소비자 체험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 캠페인을 집행했다. 출시 직후 소비자가 카누를 직접 체험해볼 수 있도록 서울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과 부산 중구 광복로에 카누 팝업 스토어를 차례로 마련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입소문을 타게 됐고, 카누의 콘셉트를 알리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또한 스키장과 오피스타운 등 여러 장소에서 카누 시음회를 열어 카누를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그 결과 지난해 2억 잔(아메리카노 1잔 기준) 판매를 돌파하고 2013년 상반기에는 4억 잔 판매를 기록했다.

 최 팀장은 “카누는 많은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간편하게 고품질의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동서식품만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인스턴트 원두커피”라면서 “앞으로도 맥심(Maxim)은 가장 맛있는 커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꾸준한 맛 개발과 연구에 힘쓸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배은나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