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리지 않는 전화 기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전국의 전화 부족 현상은 쉽게 해결될 전망이 흐려 전화 청약을 둘러싼 경쟁은 갈수록 더해질 것 같다. 이 같은 현상은 11월에 돌면서 더욱 두드러져 요즘 각 전화국의 청약 창구는 앞서 접수시키려는 인파로 아귀다툼이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내년 1월부터 가설료 50% 인상이 거의 확실해짐에 따라 더해지고 있으며 전화 청약 제도의 모순도 원인이 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전화의 절대량 부족이 근본 이유로 이는 지금까지 교환기 등 체신 자재의 대부분이 1, 2개 업체에 의해 독점 생산되어 비싼 시설 투자를 하게됨으로써 시설 확장을 못 한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12일 체신부에 의하면 지난 9월 현재 전국의 전화 시설 수는 58만5천90 회선 (자동식 39만3천5백56, 공전식 3만4천4백46, 자석식 9만6백2)으로 51만8천6백4명이 가입되어 89%의 수용율을 보이고 있으며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전주 등 7대 도시의 수용율은 최고 99%까지 되어 적정 수용을 85%에 비하면 엄청난 포화 상태를 빚어 불통의 원인마저 되고 있다.
체신부는 72년도에 전화 시설 계획을 서울의 2만5천6백 회선을 비롯, 7대 도시에 자동 전화 5만7천 회선, 기타 주요 도시에 공전식 1만6백 회선, 자석식 시내 전화 1만5천 회선과 농·어촌 4백59개 리·동 등을 세우고 있으나 이는 71년도에 비해 도시 자동 전화의 경우 약 1만 회선의 증설을 보였을 뿐 농·어촌은 올해의 8백개 리·동 보다 반이 줄어든 편이다.
이는 가설료를 올리고도 오히려 농·어촌 통신망 계획을 축소해야만 되고 자동 전파의 경우도 근소한 증설밖에 불가능하게 되어 시설 투자에서 재 점토를 요하게 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전화 기재는 1, 2개 업체에 독점돼 교환기의 경우만도 여러 가지 종류 중 EMD 방식이 3분의2를 차지하고 나머지가 「스트로저」식으로 돼 있다. 특히 EMD의 교환기의 경우 생산국인 서독에서마저도 채택치 않고 있는 기술적으로 뒤진 것 일뿐 아니라 가격도 1회선에 2백여「달러」로 미·일 등에서 쓰고 있는 「크로스바」 교환기 1백「달러」에 비해 배나 되는 값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격 면에서의 이 같은 불합리 점은 기종을 바꿀 경우 내년에 가설료를 올리지 않고도 계획량 증설이 가능할 뿐 아니라 농어촌 등 더욱 많은 시설 투자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체신부는 청약 창구의 혼잡을 덜기 위해 내년에 제도를 바꿔 수시로 청약을 접수하고 승낙 순위를 세분할 것 등을 검토하고 있으나 전화의 절대량 확보 이외엔 미봉책 밖에 안 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체신부가 세운 내년도 전화국별 전화 시설 계획은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이동 전화)
◇서울 ▲신촌=2천 ▲을지=4천6백 ▲불광=1천4백 ▲성북=1천6백 ▲청량=1천4백 ▲노량진=2천 ▲용산=1천 ▲광장=2천 ▲미아=2천 ▲시흥=1천 ▲오류=6백 ▲한강「맨션」=1천 ▲당산=3천 ▲화곡동=2천 ▲계 2만5천6백
◇중부 체신청 (1백41개) ▲인천=1천 ▲수원·의정부·안양·용평·탄천=각 6백 ▲평택=1천 ▲모란=2천 ▲송탄=1천 ▲계 8천
◇부산 체신청 (41개) ▲초량=1천2백 ▲동래·범일·사상=각 2천 ▲해운대=6백 ▲울산=1천 ▲계 8천8백
◇광주 체신청 (69개) ▲서광주=2천 ▲해남·제주=각 1천 ▲여주=5백 ▲계 4천5백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