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중소기업 취업 확대에 고용지원 집중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대기업 공채에는 수십만 명의 취업 희망자들이 몰리는 반면, 중소기업들은 일손을 구하지 못해 애를 태우는 일자리 양극화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하반기 취업 시즌을 맞아 주요 대기업에서는 채용 인원의 최대 100배가 넘는 응시자들이 몰려 원서접수를 받는 홈페이지 서버가 다운되는가 하면, 지원 서류를 처리하느라 곤욕을 치르고 있다고 한다. 반면에 중소기업에서는 오겠다는 지원자를 찾기 어려운 것은 물론 중소기업끼리 서로 인력을 빼가는 인재 쟁탈전까지 벌어진다고 한다. 대기업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하고, 중소기업 일자리는 남아도는 ‘일자리 미스매치(수급 불일치)’ 현상이 올해도 어김없이 재연되고 있는 것이다.

 삼성 등 일부 대기업 그룹에서는 채용 방식을 바꿔 입사시험 과열 현상을 완화시킬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그렇다고 취업 희망자들의 대기업 선호가 바뀔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마찬가지로 중소기업에 대한 취업 기피 현상 역시 당분간 개선될 가망은 없어 보인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 격차가 갈수록 커지는 데다 “중소기업에 다니면 결혼하기조차 힘들다”는 사회적 편견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급기야 정부는 지난 2일 중소기업에 산업기능요원 배정을 늘리고, 중소기업 취업을 조건으로 주는 장학금 제도를 도입하며, 산업단지에 중기 공동기숙사 설립 등의 대책을 내놨다. 이번 대책으로 일단은 중소기업의 인력난은 부분적으로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이것만으로는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엔 역부족이다.

 가장 시급한 것은 취업을 희망하는 젊은이들이 중소기업에 대한 그릇된 편견을 버리고, 현실적인 취업 가능성을 중시하는 쪽으로 인식을 전환하는 것이다. 막연히 대기업 취업만을 기대하면서 실업자로 지내기보다는 중소기업에 취업해 능력을 인정받는 편이 낫다는 실용적인 사고 방식이 필요하다. 정부의 고용정책도 중기 취업을 장려하는 데 더욱 집중해야 한다. 공공부문에서 반쪽짜리 시간제 일자리를 양산할 게 아니라 그 돈으로 중기 취업자를 지원하는 편이 청년실업 해소에 훨씬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