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자원외교' 해외광산 매각 안할듯…원자재값 폭등에 文 제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가 지분을 소유한 해외광산 두 곳을 매각하지 않는 것으로 잠정 결론 냈다. 원자재 값이 폭등한 데다 자원 확보가 중요한 국가 안보적 과제로 떠오르면서 기존의 매각 입장을 선회한 것이다.

코발트·구리를 생산하는 아프리카 콩고의 텡케 펑구루메 광산. [로이터=연합뉴스]

코발트·구리를 생산하는 아프리카 콩고의 텡케 펑구루메 광산. [로이터=연합뉴스]

다 팔려했다가…2곳 남기기로

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광해광업공단이 지분을 소유한 해외광산 15곳 중 2곳을 매각하지 않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 2곳은 마다가스카르 중동부에 위치한 암바토비 광산(니켈)과 파나마 꼬브레파나마 광산(구리)이다. 공단에 따르면 암바토비 광산에선 연간 최대 4만8000t의 니켈이, 꼬브레파나마 광산에선 35만t의 구리가 생산된다.

앞서 이명박 정부 때 광물자원공사 주도로 해외 자원개발이 이뤄졌다. 그러나 투자 후 손실이 나면서 자본잠식 등이 발생하자 2018년 정부는 26개 해외 자산을 전부 매각하기로 했다.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가 이를 결정했다. 26개 자산 중 11개는 이미 매각이 이뤄지면서 현재 15곳이 남아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4일 오후 청와대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등 관련 글로벌공급망 안정 방안 등을 논의하는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중앙일보 김성룡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4일 오후 청와대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등 관련 글로벌공급망 안정 방안 등을 논의하는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중앙일보 김성룡 기자]

광산 매각을 재검토하기로 한 건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 이후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14일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인 해외 광산에 대해 매각 여부를 다시 검토하라고 했다. 반도체‧2차전지 등에 쓰이는 원자재 공급이 국가 간 외교와 안보 문제로 떠오르면서다.

니켈·구리 폭등…최종 결론은 아직

매장량과 투자액 등을 고려할 때 이들 2곳의 경제성이 가장 높다는 게 산업부 판단이다. 7일(현지시간) 런던금속거래소에서 니켈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62% 폭등했다. 구리는 이날 한때 역대 최고치인 t당 1만845달러까지 치솟기도 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하면서 원자재 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최종 매각 중단 결정까지는 시간이 걸릴 예정이다. 해외자산관리위원회가 매각 여부를 결정하는데 자료 검토 단계에 있어 아직 대면 회의는 열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위원회에서 결정하면 기획재정부 산하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최종 심의를 거쳐야 한다. 산업부는 만일 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그대로 매각하는 것으로 결정이 나면 해외가 아닌 국내 기업을 상대로만 매각한다는 방침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