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열차·지하철·전세버스 총동원 … SNS선 카풀 모집 쇄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버스 파업으로 22일 교통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버스 파업 하루 전인 21일 밤 서울 노원구청 직원들이 대체차량에 행선지 등의 정보가 담긴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례없는 전국적인 버스운송 중단 사태를 하루 앞두고 정부와 지자체는 21일 동원 가능한 모든 대체 수단을 끌어모았다. 열차와 지하철에 전세버스까지 최대한 동원했다.

 국토해양부는 우선 시외버스 운행 중단에 대비해 중·단거리를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 8대를 추가 운행키로 했다. 또 고속버스 예비차 99대와 전세버스 100대를 투입해 주요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토록 할 예정이다. 지자체별로도 대책이 마련됐다.

 서울시는 지하철의 출퇴근 운행시간대를 오전 7~10시, 오후 6~9시로 한 시간씩 연장하고 막차시간도 오전 2시까지 늦추기로 했다. 또 개인택시 부제를 해제하고 승용차 요일제도 한시적으로 해제키로 했다.

 서울지방경찰청도 교통경찰 2000여 명을 주요 교차로와 지하철역 주변에 배치해 교통 혼잡을 줄일 방침이다. 사이카 신속대응팀도 총가동한다. 또 자가용 운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해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에 한시적으로 일반차량의 통행을 허용키로 했다.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평소대로 일반차량 운행이 금지된다.

 경기도는 운행을 계속하는 마을버스는 일시적으로 노선을 조정해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운행토록 할 계획이다. 지하철역으로 사람들이 몰릴 것을 대비해 경기지역을 거치는 전철 운행 횟수와 시간도 늘리기로 했다. 대구시는 22일 오전 6시부터 전세버스 150여 대를 동원해 지하철 1, 2호선과 연계해 운행키로 했다. 또 시청과 구·군청이 보유한 버스 20대는 오지 노선에 투입한다. 광주광역시는 전세버스 200대를 임차해 평상시 시내버스 운송수요의 60%까지 운행토록 할 예정이다. 경남은 시·군과 경찰서 등 관공서가 보유하고 있는 승합차 1522대를 수송에 투입한다.

 이 같은 대책에도 불구하고 교통대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지하철이 없는 지역에서는 자가용 외에 뾰족한 대체수단이 없다. 국토부 윤학배 종합교통정책관은 “비상대책을 세웠지만 지하철이 다니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교통난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일부 시민은 22일 출근길에 대비한 카풀 꾸리기에 분주했다. 35만 명이 가입된 카풀사이트인 ‘카풀까페’는 ‘서울시민을 위한 카풀서비스’ 임시 운영을 시작했다. 김성훈(31)씨는 “집이 같은 방향인 직장동료와 함께 차를 타고 출근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불만도 터져 나왔다. 대학생 박우진(24)씨는 “집에서 지하철역까지 꽤 먼 거리를 걸어야 해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닐 것 같다”며 “출근시간엔 택시도 잡기 힘들 텐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상화·최모란 기자, 광주=최경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