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일 근무제, 9월15일 이전 마무리돼야"

중앙일보

입력

김호진(金浩鎭) 노동장관은 27일 "이제 주5일 근무제 도입 문제는 어떤 형태로든 빠른 시일내에 매듭지어야 할 시점"이라며 "늦어도 내달 15일 이전에 마무리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관련, 노동부 관계자는 "정기국회 심의가 통상 11월10-15일에 있기 때문에 입법 일정상 최소 60일이 걸린다"며 "따라서 9월15일 이전에 노사정위 합의안이 나오든지 아니면 논의 내용을 노동부로 넘겨야 연내 입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이날 낮 한국노총 이남순 위원장을 비롯한 산하 28개 연맹 대표자들과 만나 "노사정위에서 그동안 많은 것을 논의해 큰 가닥은 잡은만큼 비록 몇가지 쟁점이 남아있다 해도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고 노력하면 대타협을 이룰 수 있다"며 "산하연맹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조를 바탕으로 한국노총의 대승적 결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노동계가 조직의 이해관계에 얽매여 이번 기회를 놓치면 몇년동안 도입이 늦춰질 가능성이 크다"며 한국노총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그는 또 "조속한 시일내에 합리적인 방향으로 입장을 정리해 국민이 원하는 주 5일 근무제를 한국노총이 주도적 역할을 함으로써 실현하게 됐다는 평가를 받도록 노력해 달라"고 덧붙였다.

이에대해 이남순 한국노총 위원장은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해야 한다는데는 원칙적으로 찬성하며 내달 13일 이에 대한 노총의 입장을 정리할 예정"이라며 "그러나 휴가.휴일수를 국제기준에 맞추더라도 노동자들의 소득이나 임금이 저하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실제 노동시간을 줄여 삶의 질을 향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노사정위원회는 28일 오전 확대운영위원회를 열고 주5일 근무제 도입과 관련한 근로시간단축특위의 활동상황을 보고받고 향후 회의일정 등에 대해 논의한다.

이 자리에서는 특히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한 연월차 휴가 조정문제 등 핵심쟁점을 놓고 노동계와 경영계가 이견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공익위원이 마련한 대안이 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는 장영철(張永哲) 노사정위원장을 비롯해 안영수 상임위원, 신홍 근로시간 단축특위 위원장과 공익위원들이 참석한다.(서울=연합뉴스) 이성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