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동구·중구 도시재생, 국비 받아 하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13일 부산 앞바다와 자갈치시장이 내려다보이는 서구 아미동. 1907년 화장장, 1909년 공동묘지가 들어선 이 마을은 한국전쟁 당시 피란민이 자리잡으면서 화장장·공동묘지는 터만 남고 사람 사는 동네로 바뀌었다. 하지만 지금은 5000여 가구 중 50~60%가 60~80대 노인 가구다. 노인들은 고작 4.9㎡(약1.5평)의 좁은 방에서 살기도 한다. 대부분 정부지원금 등으로 생계를 잇는다.

 일제 강점기 때 바다를 메워 만들어진 부산시 동구 범일5동 매축지(埋築地)마을도 상황은 비슷하다. 1998년만 해도 인근 부산항과 국제고무 등에서 일하는 사람으로 붐비면서 1만여 명이 살았지만 지금은 2563가구 5058명이 산다. 325가구는 빈집이고, 60세 이상이 인구의 28%인 1419명이나 된다. 또 1990년 재개발지역으로 지정됐으나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아 20년 넘게 신·개축이 금지돼 슬럼화하고 있다. 주민 제옥순(59·여)씨는 “집 위 다락에도 사람이 살 정도로 사람이 많던 때가 있었으나 재개발이 안 되고 신도시들이 생기면서 다 빠져나갔다”고 말했다.

 옛 도심의 재래시장 상권도 크게 위축돼 있다. 지난 11일 부산시 동구 초량전통시장의 상당수 가게는 셔터가 내려져 있었다. 문을 연 곳은 150여 개 부식·잡화가게 정도였다.

 이곳에서 30여 년 부식가게를 운영해 온 박영순(60·여)씨는 “10여 년 전만 해도 휴일에 문 닫는 가게가 없었는데 요즘 갈수록 문 닫는 가게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김종진(62) 초량전통시장 상인회장은 “2000년 들어 시장 인근에 대형 마트 2개가 들어서고 인구 감소로 매출도 크게 줄었다”고 말했다.

 부산시가 이들 지역 등이 포함된 4개 자치구에서 ‘원도심 되살리기(재생) 사업’을 추진한다. 지난 8월 관련 용역을 부산발전연구원에 맡겼다. 이들 지역을 어떻게 되살릴 것인지 청사진을 만들겠다는 뜻이다.

 재생사업이 이뤄지는 곳은 4개구 15.55㎢. 중·동구는 구 전체적으로, 서구는 충무·남부민동, 부산진구는 범천동에서 추진된다. 시는 각 구와 마을의 주거·상업지역 실정에 맞춰 재생 방안을 찾는다. 북항과 부산역 등 이미 재개발이 추진 중인 곳과 연계도 모색한다. 예를 들어 동구 초량·수정동, 중구 영주동 등 산복도로 일대는 배후 주거지로, 나머지 동구 초량시장·텍사스 거리·중국거리 등은 상인 중심의 상업지역으로 되살리는 식이다. 여기에 역사와 문화공간을 결합하는 ‘복합형 재생사업’도 추진된다. 시는 지역별 우선순위를 정해 내년 상반기부터라도 연차적으로 사업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추정 사업비는 4600억원.

 임기규 시 도시재생과장은 “국토부가 내년 4월께 부산시를 도시재생 시범도시로 선정할 가능성이 있어 그에 발맞춰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시범도시에 선정되면 대규모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위성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