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연구소 "3분기도 경기반등 가능성 낮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당초 기대와 달리 3.4분기의 경기반등 가능성은 낮으며 하반기 회사채 신속인수제의 종료로 인해 자금시장의 불안우려도 배제할 수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9일 LG경제연구원은 하반기 경제전망보고서에서 미국과 유럽경기의 동반침체와 정보기술(IT)분야를 중심으로 한 수출부진으로 인해 올 경제성장률은 4.8%선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1.4분기 2.1% 증가세를 보이던 수출이 2.4분기에는 반도체가의 70%폭락으로 인해 10%이상 감소세를 보였다며 1970년부터 지난 5월까지의 경제지표를 이용, 3.4분기 저점도달 가능성을 확률로 분석해 본 결과 5월을 기준으로 4개월내 저점에 도달할 확률은 3.7∼40%선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또 미 연준(FRB)의 금리인하효과가 나타나 미국 경기가 4.4분기에 회복되면서 수출이 증가해 4.4분기 성장률이 6%대에 이르더라도 수출단가하락을 고려한 실질손실은 상당할 것이며 체감경기회복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미국의 IT경기가 재고조정을 완전히 끝내려면 향후 1∼2년은 더 걸릴것이라며 하반기 회복은 불가능할 뿐 아니라 금리인하효과로 미국경기가 살아난다해도 그 효과는 점진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부문별 전망에서 연구원은 건설경기의 경우 정부의 부양책과 그동안의 침체를 반영, 4.4%가량의 성장이 예상되나 설비투자는 1.4분기 -7.9%를 기록한 후 당분간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에서도 자동차,일반기계 등의 호조와 달리 IT뿐 아니라 철강,유화분야에서도 수출의 어려움이 예상되나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지난해보다 늘어난 146억달러로 예상하고 실업률은 건설투자의 증가 등으로 평균 3.5%를 기록, 소폭 나아질 것이라고 내다 봤다.

한편 자금시장에 대해 연구원은 정부가 투자부적격 등급 채권의 해소를 위해 14조원 규모의 프라이머리 CBO 및 비과세 고수익펀드를 운영할 계획이지만 회사채 신속인수제 종료와 4분기에만 21조원어치의 회사채만기가 도래한다는 점을 볼 때 순조로운 차환이 다소 우려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LG경제연구원은 "GDP 1%내외의 재정적자폭 용인과 한은의 콜금리 인하조치에도 불구, 세계경제침체가 지속될 경우 더 적극적인 부양책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서울=연합뉴스) 김종수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