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휴대전화 유용성과 폐해 알아보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달 30일부터 운전중 핸즈프리가 아닌 상태에서의 휴대전화 사용이 금지됐다.

위반하면 승용차 운전자는 6만원, 승합.화물차는 7만원의 범칙금과 15점의 벌점을 각각 받는다.

경찰청은 7월 한달 홍보.계도를 거쳐 다음달부터 단속한다.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한 나라는 지금까지 영국.프랑스.일본 등 23개국. 이번 단속을 계기로 휴대전화 사용 실태 등을 알아본다.

◇ 휴대전화 사용 실태

한림대 언론정보학과 김신동 교수는 휴대전화를 차고 도시의 빌딩숲을 헤매는 21세기의 유목민을 지칭해 '호모 텔레포니쿠스' (전화하는 인간)란 신조어를 만들었다. 오늘날 한국인을 카리키는 말일 수도 있다.

지난해 개봉한 공포영화 '찍히면 죽는다' (김독 김기훈)와 '해변으로 가다' (감독 김인수)의 젊은 주인공들은 호모 텔레포니쿠스의 극단적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이들 주인공의 휴대전화에 대한 집착은 엽기에 가깝다.

몸에서 잘려나간 팔이 도축장 쇠갈고리에 걸려 있을 때까지도 손엔 휴대전화가 쥐어져 있다. 기차 안에 갇혀 죽음의 공포에 맞닥뜨릴 때 떨리는 손으로 가방을 뒤져 찾아낸 것도 휴대전화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이 지난달 19일 휴대전화 가입자 4백84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57%가 외출할 때 휴대전화가 없으면 불안했다. 한 통신업체가 지난해 5~6월 네티즌 2만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84%가 화장실에 휴대전화를 가지고 들어가 전화를 받았다. 그만큼 휴대전화 중독증이 심각하다는 얘기다.

◇ 휴대전화의 쓰임새와 폐해

지난해 5월말 현재 우리나라 휴대전화 가입자는 2천7백27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60%에 이른다. 보급률로 따지면 세계 6위 수준이다. 10대는 전체 가입자의 25% 정도다.

①쓰임새〓횡령과 부패 등 혐의로 기소된 필리핀 전 대통령 조셉 에스트라다가 지난달 27일 법정에 섰다. 그를 법정에 세운 일등 공신은 휴대전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에스트라다 사퇴 운동을 주도했던 시위대들은 문자 메시지로 각종 집회 소식 등을 주고 받았다. 에스트라다의 비리 소식도 휴대전화를 통해 퍼졌다.

휴대전화는 우리 생활에 다양한 혜택을 준다. 인터넷에 접속해 e-메일과 게임을 할 수 있고, 주식시세.영화.여행.날씨 등 각종 생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일본의 경우 휴대전화 위치정보시스템으로 미아를 방지하고 길 잃은 노인들의 행방을 확인한다.

②폐해〓강의나 공연 도중 울리는 벨 소리는 차라리 고전적이다.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이 금지되긴 했지만 우리나라는 지난 한해 휴대전화 사용이 원인이 된 교통사고가 9천여건에 이른다.

휴대전화의 전자파도 문제다. 비행기나 의료기기 등에 영향을 줘 오작동하게 할 수도 있다. 뇌종양 유발 등 인체 유해 논란도 끊이지 않는다. 영국 보건부는 지난해 12월 8일 16세 이하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사용 억제를 촉구하는 전단을 배포하고 휴대전화 안전성 연구에 1천만 달러를 추가 투입하는 등 휴대전화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통신요금 지출도 만만치 않다. 한국통신 경영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월말 현재 우리나라 가구별 월평균 통신비는 8만5천4백50원으로 총소득 가운데 5%를 차지했다. 이 중 이동통신 요금은 5만6천7백14원이었다.

◇ 활동 주제

①내가 어제 휴대전화를 잃어버렸다고 가정하고, 이로 인해 하루 일과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정리해 휴대전화 의존 정도를 점검한다.

②내 용돈에서 휴대전화 이용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가. 그리고 단말기를 바꾼 적이 있다면 그 이유는?

③중앙일보 6월 27일자 27면에는 제주도에서 10여m 낭떠러지 아래로 추락한 트럭 운전자가 휴대전화 발신지 추적 결과 사고 사흘만에 극적으로 구조됐다는 기사가 실렸다. 휴대전화의 혜택을 10가지만 생각해 보자.

④비행기.공공장소 등 휴대전화 사용을 자제해야 할 곳을 있는대로 조사하고, 이곳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벌을 주면 좋을지도 정한다.

⑤학교 홈페이지나 설문조사 사이트 등을 활용해 또래의 휴대전화 사용 행태를 조사한다.

⑥우리나라 휴대전화 시장이 고속 성장한 큰 요인 중 하나는 적극적인 광고 마케팅이었다. 기존 휴대전화 광고를 모방해 휴대전화 사용 자제를 촉구하는 광고를 만든다.

⑦휴대전화 확산 배경을 국민성과 연결하는 전문가도 있다. 선진국은 최소 2주쯤 전에 약속을 확정하지만 우리는 당일 정하기도 하고 약속 변경도 잦아 휴대전화가 필요할 수밖에 없다는 풀이다. 내가 생각하는 요인 한가지만 들고 논리적으로 설명한다.

이태종 기자 ltaej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