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지방세 인터넷 납부제 실적 저조

중앙일보

입력

부산시가 의욕을 갖고 지난해 8월부터 시행에 들어간 `지방세 인터넷 납부제도''가 부산시민들로부터 외면 당하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해 8월부터 지방세 인터넷 납부제도 시행에 들어갔으나 전체 지방세 부과 대상(800여만건)의 0.03% 수준인 2천333건(2억2천800여만원)만이 인터넷을 통해 세금을 납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시는 당초 인터넷 이용자들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세금을 내기 위해 일부러금융기관까지 가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는 등 장점이 많아 지방세 인터넷 납부제도가큰 인기를 끌 것으로 판단했지만 예상을 완전히 뒤엎은 것이다.

시는 이에따라 인터넷 납부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시는 우선 인터넷 납부를 하려해도 컴퓨터마다 설정된 환경이 달라 시스템상 공인인증서 발급을 받을 때 접속이 잘 안되는 점을 발견하고 프로그램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또 인터넷 납부가 완전히 이뤄지기 위해서는 로그인→공인인증서 발급→예금잔액 조회→온라인 납부 등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그때마다 비밀번호와 계좌번호를 입력하는 등 번거로운 점에 착안, 이들 절차를 통합처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시는 또 인터넷 납부 대상자들에게 영화관람권 등 크고 작은 경품을 제공하는등 유인책을 쓰기로 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방세의 인터넷 납부가 일반화될 경우 고지서발급 비용 예산절감과 인력 낭비 절감 효과가 매우 크다"며 "앞으로 시스템 보완 등을 통해 인터넷납부율을 3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연합뉴스) 심수화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