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한·일·대만 우량주 '싹쓸이 쇼핑'

중앙일보

입력

외국인 투자자들이 순매도 공세를 펼치지만 길게 보면 줄기차게 아시아 증시로 몰려들고 있다. 외국인들은 비교적 탄탄한 제조업을 보유한 한국과 일본.대만 시장에 서 우량 주식을 골라 매입하면서 큰 손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경제가 불안한 태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에는 미련없이 주식을 던지고 손을 털고 있다.

◇ 아시아 러시〓니혼게이자이 신문은 27일 일본 전체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비중이 금액기준으로 20%에 육박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 기간동안 일본의 니케이 평균지수는 5.85% 하락했지만 외국인은 꾸준히 우량주와 가치주를 사들이고 있다. 이들은 블루칩에 속하는 소니와 도요타자동차.신일본제철 등을 집중적으로 매수했다.

이에 따라 도요타자동차는 하락장에서도 올 들어 18.6%나 주가가 올랐고 신일본제철과 소니도 각각 3.7%와 3.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외국인들은 올 들어 대만증시의 가권(加權)지수가 0.97% 오른 가운데 52억2천만달러의 주식을 순매수한 것을 나타났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 한 해동안 대만 시장에서 기록한 전체 순매수 규모(51억2천만달러)를 뛰어넘는 것이다.

최근 증가세가 주춤해졌지만 서울 증시에도 외국인 비중은 늘어났다.

UBS워버그 증권에 따르면 외국인들은 올 들어 한국 시장에서 44억5천만달러를 순매수했다. 지난 한 해동안 1백17억달러를 순매수한 것에는 못 미치지만 아시아 신흥 시장에서 한국의 순매수 규모가 가장 크다.

이에 힘입어 올 들어 서울 증시는 아시아 시장 중 가장 높은 22%의 상승률(장외시장 포함)을 기록하고 있다.

◇ 아시아로 몰리는 뮤추얼펀드〓전세계 신흥시장에 투자하는 글로벌 뮤추얼펀드는 올 들어 아시아 주식을 편식 하고 있다. 미국의 데이터리서치 기관인 GIP에 따르면 현재 글로벌 펀드의 투자비중은 아시아가 42%로 중남미(30%)나 유럽(12%)에 비해 훨씬 높았다.

특히 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한국 31%▶대만 21%▶인도 18%▶중국 11% 순으로 투자 비중이 높았다.

현대증권 투자전략팀 장선희 연구원은 "아시아 시장이 상대적으로 유망하다는 판단에 따라 글로벌 펀드 투자도 이 지역으로 몰리고 있다" 며 "글로벌 펀드만 보면 한국 시장에 8주째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고 말했다.

◇ 빈익빈 부익부=외국인의 투자가 늘지만 국가별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대만.인도 등 아시아 신흥국가들과 일본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늘었지만 경제전망이 불투명한 태국과 필리핀 등에는 투자규모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줄어 들었다.

외국인들은 태국 시장에서 지난해 8억2천만달러를 순매도한데 이어 올들어서도 52억달러의 매도 우위를 보였다. 필리핀 역시 올 들어 주가가 2% 가량 올랐지만 외국인의 투자규모는 1억달러로 미미한 수준이다.

외국인들은 또 아시아의 우량기업 주식만 골라 사들이고 있다. 세계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실력을 갖춘 상위 기업의 주식은 가격을 불문하고 매집하지만 시장 점유율이 3위 이하의 기업들은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증권업협회 박병주 조사국제부장은 "외국인들은 돈이 되는 국가만 찾아다니면서 나라별로 시가총액이 큰 블루칩과 우량주를 집중매수하고 있다" 며 "서울 증시에서 현대차와 삼성전자.국민은행.삼성증권 등을 매수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 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외국인들의 아시아 투자가 증시에만 국한될 뿐 설비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대한투자신탁증권 이정완 국제부장은 "수익성을 중시하다보니 외국인 투자가 주가가 하락한 우량기업의 지분 인수에만 집중되고 있다" 며 "외국인들의 직접 설비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고 지적했다.

정제원 기자 newspoe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